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판매하기 전 단계로 '베타 버전', 또는 '시험판'을 거치게 된다. 일단 완성 전 단계로 부족한 부분이나 버그 패치용도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검증된 버전이 '정식판'으로 세상에 나오는 것이다.


판매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용어로만 사용되던 것이 최근에는 온라인 게임이 유료화 단계에 진입하기 전에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는 단계를 나눌 때도 '베타'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게임 업계에서는 일정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테스트 버전인 '클로즈베타'에 이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단계로 유료화 직전 2, 3개월 동안 실시하는 최종 테스트 버전을 '오픈베타'라고 부른다.


이렇게 유료화를 기반으로 한 성능 시험판의 의미로 사용되는 '베타'라는 용어가 무료 인터넷 서비스의 대명사인 포털업계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 미국 야후(www.yahoo.com)가 앤서즈(Answers) 서비스를 베타 오픈했다. 국내 포털의 기본 서비스가 된 '지식 검색'의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으로 모든 것을 갖춰놓고 출발한 것이 아니라 일단 사용자의 반응과 기능을 실험하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써볼 수 있다'.


특히 구글이 내놓는 서비스에 이러한 '베타' 전략이 많이 차용되는데 구글 어스, 구글 데스크톱, 구글 베이스, 지메일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베타'라는 이름을 달고 서비스되기 시작해 한참 지난 후에 '베타' 꼬리표를 떼 내고 정식 서비스가 된다.


국내 포털업계도 그동안 '미완성'의 의미에서 벗어나기 시작해 '최신'이란 뜻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베타'라는 용어를 당당하게 도입하고 있다.


최근 NHN은 마치 온라인 게임의 클로즈 베타 서비스 처럼 네이버 데스크톱 베타테스터 모집에 나섰다. 네이버(www.naver.com)는 총 3000명을 대상으로 주요 서비스와 각종 생활정보를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네이버 데스크톱’의 비공개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NHN은 이외에 네이버 툴바 2.0을 선보이면서 '베타' 꼬리표를 붙였으며 동영상 검색 서비스도 시범서비스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베타' 서비스 형태는 다음, 파란도 적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다음(www.daum.net)은 지난 15일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베타 서비스 형태로 선보였다. KTH(대표 송영한)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파란(www.paran.com)은 연예인과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스타 팅레터’서비스를 파란루키를 통해 베타 서비스한다. 파란은 메신저 서비스인 'U2'도 베타 테스트에 돌입했다.


야후도 지난 22일 동영상 및 음악 파일을 검색하고 자유자재로 재생하며 CD를 굽고 MP3를 만드는 것까지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서비스인 '판'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선보였다.


베타라는 말 대신 '시범 서비스'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마치 영화처럼 '예고편'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서비스도 있다. 인터넷 마니아들 사이에서 한국형 구글로 관심을 끌고 있는 첫눈(www.1noon.com)의 경우 현재 정식 서비스를 하고 있지 않지만 '예고편2'까지 선보이면서 사용자들로부터 피드백을 꾸준히 받아들이고 있는중이다.


닫힌 '클로즈 베타'에서 사용자와 함께 만드는 '오픈베타'로 진화
'베타' 버전은 일단 완벽한 검증이 끝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식 서비스와 다르다. 사용중 오류가 생길 수도 있고 기능이 미흡할 수도 있는 미완성 버전을 이렇게 당당하게 수많은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포털 업계 관계자는 "소프트웨어나 인터넷 서비스란 것이 어차피 최종 완성단계가 없을 뿐더러 특히 시시각각 기능이 추가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차라리 일찍 공개해 사용자들로부터 기술을 선도한다는 느낌과 더불어 기능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빨리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베타 버전을 공개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편으로는 '베타 서비스'라는 의미 자체가 미완성 버전이란 점 때문에 미흡한 기능에 대해서 '면피'할 수 있다는 점과 잦은 기능 개선에 대해 사용자들의 이해를 구하기 쉽다는 점도 '베타'라는 꼬리표를 달고 서비스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음R&D센터의 윤석찬 연구원은 최근 칼럼에서 구글의 G메일의 경우 "베타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는 독특한 자부심과 은근한 만족이 사람들을 행동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웹2.0의 주창자인 한 팀 오라일리는 웹2.0을 이끄는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 설명하면서 "오픈 소스 개발 지침의 영향으로 사용자는 공동 개발자로 취급되어야한다.(심지어 문제의 소프트웨어가 오픈 소스 라이선스하에 릴리스 될 것 같지 않더라도 말이다) 오픈 소스 격언인 '빨리 출시하고, 자주 출시한다(release early and release often)"는 실제로 소프트웨어가 보다 극단적인 위치, "영원한 베타(the perpetual beta)'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제품이 공개된 장소에서 개발되며 월간, 주간 또는 심지어 일일 단위로 새로운 기능이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메일(Gmail), 구글 맵스, 플리커(Flickr), 딜리셔스(del.icio.us) 같은 서비스들이 동시에 수년째 "베타" 로고를 갖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가 점차 갇혀진 전문가만 사용하던 '클로즈 베타'에서 사용자와 함께 만들어 가는 '오픈베타'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명승은 기자]


SpotNews.com&매경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경인터넷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5/12/26 16:09 2005/12/26 16:09

'내가 없어도 미니홈피에 누군가 있어서 방문자와 대화를 나눠준다면?'


아우닷컴(www.aawoo.com)의 대화 에이전트가 탄생한 배경이다. 아우닷컴은 기존 블로그나 미니홈피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개인형 미디어 서비스이다. 하지만 아우닷컴의 미니홈피에는 방문자를 반갑게 맞아주고 간단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도우미가 있다는 점이 차별화 요소다. 이 차별화 요소 때문에 서비스 개시 8개월만에 65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 서비스 가입자 대부분이 10대와 20대들이다.


아우닷컴의 핵심 서비스 기술인 대화 에이전트 개발을 맡은 이상주 박사에게 '심심이'와 무엇이 다른지 물어보았다.


이 박사는 "심심이는 질문과 답변을 사용자가 입력해 놓고 그에 맞는 대답만 할 수 있는 반면 아우의 경우 질문에 맞는 답변을 중간에서 언어처리 모듈을 통해 질문 형태에 맞는 대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아우는 '너 누구니, 너 누구야?, 넌 뭐 하는 아이니?' 등의 서로 다른 질문이라도 같은 질문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전 아우에요, 절 모르시나요?, 아우라고 해요' 등 다양한 답변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에 가깝다.


다음소프트 자연언어처리 연구소 소장인 이 박사는 국내 자연어처리 분야의 몇 안 되는 권위자 가운데 하나다. 자연어처리 분야 박사급 연구원 6명을 이끌고 있는 그는 국내 자연어처리 분야가 아직 답보 상태임을 인정한다. 기계적인 언어처리 연구가 시작된 시점이 80년대였으며 90년대 초 기계 번역 제품을 중심으로 자연어처리 연구가 활성화됐지만 이후 IMF 외환위기 이후 연구가 답보상태였다는 것.


"영어는 구문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사실 우리말의 경우 구문보다는 형태소 문제가 더 심각하다. 여기에 한 발 더 나아가 대화를 처리하는 기술은 아직 2000년대 이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면서도 현재의 자연어처리 기술 개발이 좀더 인내심을 갖고 발전시킨다면 다양한 분야에 접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 좀더 발전되면 앞으로는 시리즈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 '항공권을 예매하시겠습니까'라며 좀더 직접적인 상황별 작업 흐름도를 통해 적극적인 대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


자연어 처리 기술에 대한 단계를 나눠달라는 기자의 말에 "굳이 단계를 나누자면 질문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낼 수 있는 정도를 1단계라고 보고 현재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2단계라면 질문이 들어왔을 때 단순한 응답 이상의 연관 정보를 적절하게 연동해서 보여주는 수준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검색엔진과의 연동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말이었다.


그는 이어 "다음 단계로는 에이전트가 대화의 흐름을 주도하면서 정해진 작업 방식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수준을 3단계로 볼 수 있다. 이후 4단계는 사람처럼 현재 상황을 스스로 인식해서 답변이 좀더 적절해질 것이며 5단계는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는 단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도 다음소프트의 대화 에이전트 기술과 접목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 업체들의 러브콜이 연이어 들어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내년말 정도를 획기적인 변환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내년 말쯤이면 메신저에 탑재된 아우가 본격적인 활동을 하게 될 것이며 키워드 광고 등의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될 것이고 기타 고객응대 서비스용으로 에이전트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이박사는 전했다.


이후 음성합성 및 음성인식 기술이 접목된다면 상호작용 가능한 로봇의 실용화가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라고 이 박사는 말한다.


이상주 박사는 일본과 한국의 자연어 처리 연구 인력이 10분의 일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연구 인력이 많아지고 서로 정보 처리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자연어 처리 연구의 속도도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우닷컴의 대화 에이전트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너무 높다'는 점이 부담스럽다고 솔직히 토로한다. 사용자마다 연령대나 관심 분야에 따라 기대하는 대화 수준이 천양지차라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에이전트에 질문과 대답을 입력하면서 말을 가르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순간 주인을 닮은 대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앞으로 대화 에이전트의 발전 방향에 대해 '다른 나라보다 감성적인 한국적인 서비스 모델에 맞게 발전한다면 외국보다 앞설 수 있는 기회가 보일 것"이라며 우리나라 사용자들의 감성과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접목이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화 에이전트 '아우'와 대화하기


bgcolor="#ffffff" width="440" height="300" name='agent'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sameDomain"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

[명승은 기자]


SpotNews.com&매경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경인터넷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5/12/26 14:15 2005/12/26 14:15

사회적 이슈에 대한 척도로써 네티즌이 인터넷 검색 사이트를 통해 어떤 키워드를 검색했는지를 보면 유추가 가능하다. 단연 현재 최고의 이슈 키워드는 '황우석'과 '줄기세포'다.


네이버, 다음, 야후, 네이트 등 국내 33개 포털의 검색을 종합한 결과 '황우석', '줄기세포' 등 키워드에 대한 인터넷 검색횟수가 지난달 대비 20배 이상 증가한 것만 봐도 줄기세포 관련 이슈가 현재 우리나라를 얼마나 뜨겁게 달구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오버추어 코리아(대표 김정우 www.overture.co.kr)는 오늘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진위 논란과 관련하여 지난 한달 간 ‘황우석’, ‘줄기세포’ 등 키워드에 대한 네티즌의 인터넷 검색횟수가 전달 대비 20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오버추어 코리아의 파트너사인 네이버, 다음, 야후!코리아, 네이트, 하나포스닷컴, 드림위즈, MSN 등 33개 포털의 검색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줄기세포 논란과 관련한 네티즌의 관심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수치다.   


‘황우석’ 키워드에 대한 검색은 황우석 교수팀의 논문이 사이언스지의 표지를 장식했던 6월 17일에 8,873건이 발생한 것에 비해, 미즈메디 노성일 이사장이 난자 보상금 지급을 시인한 11월 21일에는 14,880건, MBC PD수첩이 ‘황우석 신화와 난자 매매 의혹’ 방영된 다음날인 11월 23일에는 33,360건, 24일에는 85,194건이 발생해 표지 게재 시의 약 10배에 달하는 증가를 보였다.


네티즌의 관심도는 12월 15일 미즈메디 노성일 이사장의 ‘줄기세포는 없다’ 충격 선언 시 극에 달해 ‘황우석’ 키워드의 1일 조회수는 289,374건으로 폭등했으며,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1차 중간발표일인 23일에도 102,957건의 높은 조회수가 발생했다.  


11월 21일부터 12월 24일까지(34일간) 33개 포털의 검색창에서 네티즌이 ‘황우석’으로 검색을 실시한 총 조회수는 2,512,439건이며, 하루 평균 조회수는 약 74,000건이었다.


오버추어 코리아의 이경한 마케팅 전무는 “키워드 검색 횟수는 당시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여론의 관심을 가장 잘 반영한 수치” 라며 “네티즌이 검색창에 ‘황우석’이라는 키워드 뿐 아니라 ‘줄기세포’, ‘황우석교수’, ‘PD수첩’, ‘노성일’ 등 다양한 관련 키워드를 통해 이번 줄기세포 논란에 대해 검색한 것을 감안하면 훨씬 더 많은 숫자의 네티즌이 인터넷 검색을 통해 관련 이슈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토론에 참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수치에는 포털 사이트 뉴스 톱을 장식하고 있는 기사를 클릭한 것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순수하게 인터넷 검색 창에 사용자들이 입력한 건수만을 조사한 것이다.


[명승은 기자]


SpotNews.com&매경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경인터넷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5/12/26 14:12 2005/12/26 14:12

카테고리

전체 (1951)
News Ring (644)
Column Ring (295)
Ring Idea (1004)
Ring Blog Net (8)
Scrap BOX(blinded) (0)

달력

«   2005/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그만'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 Supported by TNM
Copyright by 그만 [ http://www.ringblog.ne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