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분야건 기자라면 누구나 '정보'에 목이 마를 때가 있다. 현장이 제아무리 드라마틱해도 모든 기자들이 한 가지 사건에만 목매달고 있지 않는 이상에야 날마다 '가치 있는' 새로운 정보가 자신 앞에 쏟아져 나오길 기대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제아무리 가벼운 연성뉴스가 넘쳐난다지만 소재라도 특별하거나 정보성이 탁월한 소재를 찾아 기사로 풀어내기 쉽지 않다.
그래서 외신에서 많은 기자들이 이런 갈증을 해소하려 한다. 특히 취재 기반이 취약하고 기사 생산 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온라인 기자들이 그러하다. 그만 역시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보다 '날 정보'가 적은 IT분야를 취재하다보면 '오늘의 뉴스'를 찾기 위해 외신을 찾아 들어갈 때가 있다. 대부분 그런 갈증은 몇 시간의 서핑만으로 해소될 때가 있다.
아마도 그래서일까? 수많은 외신 정보들이 예전보다 훨씬 자잘한 것까지 넘쳐나는 시대가 되었다. 해외 토픽 꼭지에서나 한 두 개 정도 소개되는 것에서 벗어나 웬만한 엽기 해외 소식은 예사로 검색되고 유통된다.
그런데 외신을 번역해서 소개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예전 링블로그에서도 심각하게 문제를 삼았듯이 외신 역시 우리나라 기사 이상의 저작권 보호에 민감하며 그에 따라 외신 인용의 정당한 범주를 넘어서는 위험하다.
오늘 두 기사를 소개한다.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구글’의 5가지 비밀[중앙일보] 2008.6.23
카멜레온이 일찍 죽는 이유는 격렬한 짝짓기 때문 [중앙일보] 2008.7.4
솔직히 이 두 기사를 고른 것은 누군가 이 기사를 읽어보라고 했기 때문이며 우연의 일치인지 몰라도 공교롭게 두 기사가 모두 한 기자에 의해 쓰여졌다. 의도적이 아님을 분명하게 밝힌다.(시국이 시국인지라.. --;)
첫 번째 기사,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구글'의 5가지 비밀' 속 내용은 매우 흥미로운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아무래도 어디선 본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댓글을 달아 놓은 네티즌들의 말처럼 '모두 다 아는 내용'은 사실 아닌데 그 사례라거나 내용 구성이 분명 어디서 본 것이다.
찾았다. Digg.com과 야후!버즈에서 상위에 랭크됐던 그 기사다.
5 Things You Didn't Know: Google[AskMen.com]2008.6.19
이 원문 기사는 이 남성 잡지의 특집 기획물 '5 Things You Didn't Know :'가운데 하나다. 나머지 시리즈들도 혹여 관심 있으면 읽어보시기 바란다.
5 Things You Didn't Know: Time Travel
5 Things You Didn't Know: Canada
5 Things You Didn't Know: DNA
5 Things You Didn't Know: Space Tourism
5 Things You Didn't Know: Condoms
http://www.askmen.com/toys/special_feature/ <- 여기 있는 것들만으로도 몇 개월은 소재가 빈곤하지 않을 정도다. ^^
문제는 이 기사를 번역하면서 출처 명기가 없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지나치게 완역에 가까운 전문 번역을 하면서도 바이라인(출처나 글쓴이 표기)에 과감히 자신의 이름을 올린 것이 문제다.
예전 알몸 투시기 관련 외신 번역에 대한 관행에 대해 질타하면서 썼던 내용을 다시 가져와본다.
외신을 보고 한국어로 번역 할 때는 최소한의 기준이 있습니다.
- 최초 또는 번역 원문 출처를 명기한다 (AP통신에 따르면 등등)
- 따로 계약돼 있지 않은 경우 최소한의 사실 보도문 정도만 번역 게재한다.
- 가급적 외신의 출처 확인 작업을 거친다.(MS 소식이면 MS 공식 발표문 정도는 봐줘야 한다는 식)
국내 외신 보도에 대해 그만은 매우 심각한 문제 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하던대로' 또는 '어쩔수없이'라는 식으로 눈가리고 아웅하기에는 독자들의 눈과 귀가 예전 같지 않습니다.
- [오늘의 댓글] 알몸 투시기와 Backscatter 사이[Updated]
가장 무난한 번역 기사가 되려면,
~ 보도에 따르면, ~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도의 몇 문장에서 멈추거나 기타 다른 동원할 수 있는 소스원을 확대해 유사 사례나 동종 사건 등을 뒤섞어 종합으로 엮는 것이 방법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구글 기사는 지나치게 완역을 시도했다. 문장 속 몇 가지 틀린 점은 딱히 지적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예를 들면 10의 100제곱을 표현해야 하는데 10100이라고 그대로 노출됐다거나 세르게이 브린을 '서지 브린'이라고 표현했다든지 하는.. --;)
다음으로 오늘의 압권, 카멜레온이 일찍 죽는 이유는 격렬한 짝짓기 때문 이 기사는 정말 대책이 서지 않는 기사다. 며칠이 지났으니 좀 고치려는 시도 좀 해봤으면 좋으련만 그대로 놔두고 있는 언론사 역시 좀 문제가 아닐까 싶다.
네이버 뉴스 댓글에서 네티즌이 지적한 내용만 발췌해보자.
- 암컷은 무선 송신기를 갖고 있어서 죽기 전에 알을 낳기 위해 둥우리를 판다.
- 카멜레온은 수명의 3분의 2 가량을 길이 12㎜의 알 속에서 애벌레 상태로 지낸다.
- 도마뱀은 카멜레온 가운데 가장 몸집이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8개월 후인 11월에 부화되고 다시 알, 유충, 성충의 순환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같은 생명 패턴은 식물이나 무척추동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네 발 달린 무척추동물 가운데 2만 8000여종 가운데 도마뱀이나 캥거루 수컷을 포함한 20종만이 이같은 1년생 패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과학 전문기'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 하지만 Furcifer labordi라는 카멜레온은 동면을 취하는 대신 죽는다.
.... 너무 급하게 번역한 티가 난다. 외신 번역 기사에서 금기시되는 원어 노출 (Furcifer labordi)은 물론 앞 뒤, 선후도 안 맞는데다 원문에 있는 그림 캡션을 그대로 본문으로 가져오는 바람에 엉뚱한 문장이 들어가버리는 실수까지 저질렀다.
'알, 유충, 성충'이란 표현은 알이 부화되어 성체로 크는 성장 주기를 표현하기 위한 것 처럼 보이지만 아쉽게도 카멜레온은 '충', 즉 곤충이 아니다.
원문은 아래 기사다.
http://www.newscientist.com/article/dn14226-violent-sex-means-chameleons-die-young.html
생물학적인 기초가 아무리 없다고해도 '네 발 달린 무척추동물 가운데 2만 8000여종 가운데 도마뱀이나 캥거루 수컷을 포함한' 따위의 허무맹랑한 번역은 그대로 기사로 송고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글이다.
이런 전문적인 내용의 번역일 때는 과감하게 원문에서 불필요한 내용을 제거하고 명확하고 이해할만한 내용만 남겨 놓고 과감한 의역을 시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물론 의역을 할 때에는 직역에 의한 의미 전달보다 훨씬 자유로운 문장 구사가 가능할 정도의 내용 파악이 있어야 한다.
----------------------------->
예전에 번역 기사를 처음 다룰 때 종종 등장하던 '빅블루(Big Blue)'라든가 '자이언트(Giant)' 등의 은유 대명사가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임을 나중에 알고 일일이 예전 기사를 뒤적이며 엉뚱하게 번역된 곳을 찾아 고쳤던 기억이 있다.
종종 직역에 충실하다 보면 생기는 의미 전달의 부정확성 역시 기억에 많이 남는다. 마지막 한 문장을 다듬기 위해 몇 시간을 고민했던 때도 있었다.
IT밥만 수년 동안 전문적으로 다뤄왔던 기자에게도 힘든 전문 영역의 기사 번역이 불현듯 쉬워지기는 힘들 것이다.
그래도 최소한 번역의 ABC 정도는 알고 외신 인용에 대한 최소한의 면피성 관행 범위 정도는 알고 번역을 했으면 좋겠다. 원문이라도 좀 달아주던가.
■관련 글 : 2006/11/28 외래어 딜레마
TRACKBACK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 전쟁영화 번역들 언제쯤이면 제대로 된 걸 볼 수 있나?
Tracked from deutsch`s Web Cafe 삭제전쟁영화 번역, 언제쯤 제대로 된 걸 볼 수 있을까? 영화 [게티스버그] 정품 DVD에서 스페셜 피쳐를 보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나, 도대체 누가 번역을 했는지 엉망진창입니다. 이 번역된 자막을 보고 있으면 정확한 사실은 하나도 파악할 수가 없습니다(배급사가 SY Entertainment, 수입사가 신한영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워너브러더스). 미국의 DVD 제작자들은 기껏 열심히 역사가들까지 동원해서 만들었는데, 번역이 개판입니다. 1) "최대 권력..
2008/07/05 05:27 -
잘못 쓰이는 경제학 용어 "시장실패"
Tracked from 사실과 진실의 차이 삭제시장 실패란 최적의 파레토 효율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시장을 말하는 경제학 용어이다.영어로는 market failure 인데....경제학을 공부하다보면 뭔가 이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시장 실패가 아닌 경우가 있나 하는 것이다.최적의 파레토 효율성이 보장되는 시장....그런게 존재할거 같지않다는 것이다.파레토 최적 효율상태에 다가가려면 완전경쟁시장이 되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런 시장은 없다.완전경쟁시장은 그야말로 이론속에서만 존재할뿐 현실에선 이...
2008/07/05 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