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그의 생각이 궁금했다.

그의 이력은 다른 국내 포털 수장들과 엇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동아일보 기자였다. 그리고 미국에 유학 때문에 건너갔고 오마이뉴스에 기고를 하다가 다시 오마이뉴스 인터내셔널 국장을 맡았다. 그리고 9개월만에 네이버에 합류한다.

현재 그는 국내 온라인 검색소비의 77%를 잠식하는 공룡의 미디어 부문 이사(조만간 서비스 총괄 이사가 된다)다. 바로 그가 nhn 네이버 미디어 부문 홍은택 이사다.

홍은택 이사를 6월 13일 오후에 분당 nhn 내부 회의실에서 만났다.

그는 그만에게 자신의 저서인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을 사인해서 한 권 건냈다. 그는 바이크 라이더이다.

홍 이사는 그만에게 개인적인 호기심과 함께 그만이 다니고 있는 언론사에 대해 뭔가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기자적인 호기심으로 접근하면야 "정부와 언론들이 연일 네이버를 공격하고 있다. 이를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이 나와야 했으며 "실시간 인기검색어 따른 부작용과 아웃링크를 악용하는 기사 어뷰징 문제에 대해 말해달라"고 요청해야 했다.

하지만 우리는 미디어,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신문사들이 어떻게 바뀌어야 살아남을 것인가, 블로그란 무엇인가, 앞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미디어는 어떻게 흐를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로 두 시간을 훌쩍 넘겨버렸다.

일단 그가 말하는 바는 직접 기고나 기존 언론사들과의 인터뷰에서 많은 이야기가 나왔으므로 그 글을 소개한다.

사람과생각 / 인터뷰_NHN 미디어담당 이사로 영입된 홍은택[신문과 방송]-pdf파일
www.kpf.or.kr/datas/pdsindex/simimg/200702061707883.pdf

[세상읽기]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의 이면[한겨레신문 칼럼]
www.hani.co.kr/arti/opinion/column/214965.html

언론사, 정말 많이 바뀌어야 한다
기존 언론사에 몸을 담았던 사람으로서, 그리고 온라인 언론사도 거치고 온라인 뉴스의 중심인 1위 포털사의 미디어 총괄 수장으로서 그가 느끼는 언론사와의 인식 차이는 생각보다 컸다.

언론이 콘텐츠 차별화에 대한 투자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까지 걱정이 대단했다. 이런 식이라면 온라인 뉴스가 하향평준화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낚시질로 장사해먹는' 포털 미디어 이사의 입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포털로서 아웃링크도 하고 검색도 점차 개방시키고 수익 모델도 개발하고 언론사 연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에도 도움을 주고 있지만 언론사들은 생각보다 잘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언론사 온라인 전략이 따로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언론사의 근본적인 콘텐츠 마이드셋 변화가 필요하다.

그만은 여러가지 원인에 대해 말했다. 현재 언론사들의 인터넷 전략이 중구난방에다 포털전략을 동시에 구사하면서 포털을 새로운 유통 채널로 인지하지 않고 온라인상의 경쟁자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는 언론사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다. 모든 뉴스는 내가 가진 플랫폼 안에서 돌아야 하는 것이 궁극적인 승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언론사들의 근본적인 착각이 아닐까. 너도 나도 결국 수익모델이 광고인데 나눠먹기 아깝다는 생각이 여전하다.

그런데 홍은택 이사는 좀더 깊숙한 이야기를 한다. '뉴스'라는 것을 대하는 태도가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한다고 말한다.

오늘 일어난 일을 내일 알려주려고 신문은 일한다. 하지만 현재는 이미 온라인이 말하고 있다.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오늘 해줘야 할 이야기는 온라인으로 만들어 뿌려야 하고 중요하고 심도 깊고 의미있는 기사를 좀더 정성스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가와 독자들을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홍 이사가 말하는 애널리스트)들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서울디지털포럼에서 명사들이 누구나 주장했던 '콘텐츠의 경쟁력'에 대한 언급이었다. 물론 그 이상 넘어가는 깊은 논의는 이 블로그에서 밝히기 뭐하지만 완벽한 환골탈태가 있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으며 조직과 조직원의 비전과 실행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는 언론사들의 위기에 대해 '기회가 옆에 있음에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그만은 현실적으로 수십년간 이어져 온 콘텐츠 수급 방식이 송두리째 바뀔 것이란 기대를 갖지 않는다.

블로그는 온라인상의 개인주택이다.
그렇다면 그는 블로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

이 부분에서 홍 이사는 그만에게 질문을 던진다. "블로그를 뭐라고 생각하는가.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만은 "1인 미디어에 대한 실험, 개인 브랜드의 형성 과정을 체험해보고 싶었다"는 요지의 말을 이어나갔다.

홍 이사는 블로그를 '개인주택'이라고 말한다. 이미 네이버 블로그 사용자는 800만명을 넘어섰고 다음 블로그 사용자는 200만명을 앞두고 있다. 이미 두 서비스 블로그 사용자만 1000만명이다. 인터넷 인구가 3200만명이 넘어선 지금 다른 서비스들까지 합치면 숫자상으로는 둘 중 하나는 블로그라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인터넷 인구 대부분이 블로그가 뭔지 정도는 인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눈에 띄는 블로그는 무엇일까. 그들의 경쟁력은 어디서 나오며 그들은 어떤 목적으로 블로그를 하는 것일까.

위의 신문과 방송에서 블로그에 대한 홍 이사의 발언 내용만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그만에게 말해줬던 그 내용이어서 그대로 인용한다.

블로그는 온라인에서 유저들의 개인 주택이다. 본인이 원하는 대로 집을 꾸밀 수 있고, 꾸민 집을 다른 사람들한테 보여줄 수도 있다. 또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면 올리고, 그 이야기가 읽을 만한 가치가 있으면 온라인을 통해 전파되며 또 원하는 이야기를 모을 수도 있다. 유저들의 디지털 자산이 쌓이는 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요즘 이메일을 안 쓰는 사람들이 없듯이 앞으로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자신의 공간 즉 블로그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네이버에 이메일 계정을 개설하면 자 동적으로 블로그 공간이 배정된다.


그만은 그런 인식에 대해 인정한다. 싸이월드의 홈에 대한 개념과도 비슷한 이 의견은 많은 포털 커뮤니티 팀이 바라보는 관점과 유사하다.(너무 거창하게 보지 말라는 거다) 반면 그만은 미디어다음의 블로거뉴스에 대해서도 인정하고 독립형 블로그들의 성지처럼 여겨지는 올블로그의 이슈 흐름도 인정한다.

다만 그만은 블로그를 통해 1인 미디어에 대한 가능성, 콘텐츠 하나 하나 낱개 경쟁에 대한 탐구, 개인 브랜드의 형성과정의 체험과 함께 개인 콘텐츠 프로바이더(CP)의 수익모델에 대해 고민할 뿐이라고 말했다.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를 맛보고 있음을 역시 털어놓았다. 물론 실험은 진행중이다.

집중적인 공세에 수세적이고 방어적이 되어가는 1등 포털
깊숙한 이야기는 공개적으로 꺼내기 힘들 것 같다. 다만 네이버는 매체사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들을 마련하고 싶어하고 언론사들과 수익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이야기 하고 싶어했다.

"안에만 있으니까 바깥 사람들이랑 이야기 하기도 힘들고 과연 언론사 사람들이 지금 겪고 있는 문제가 뭔지, 고민이 뭔지, 네이버에 뭘 바라는지 잘 파악이 안 될 때가 있다"고 털어 놓는 것을 보면 언론사들 역시 대안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자세로 접근해왔으면 하는 눈치였다.

요즘 고민 이야기가 잠깐 나왔다. 도대체가 언론사와 정치권이 네이버를 너무나 집중공격하고 반론권조차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격만 하고 원인이나 해결 방안에 대해 함께 고민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답답해 하는 것 처럼 보였다.

스스로 방어적인 일을 하는 데 시간을 많이 쓰고 있다고 토로한다. 특히 요즘처럼 집중 공격을 받을 때는 더 힘들다. "그래도 법이 어떤 식으로든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나온다면 어떤 방식으로든 따를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검색사업자법이나 신문법 편입이 설사 이뤄진다고 해도 특별히 맞서 싸울 생각은 없어 보였다.

그만은 홍은택 이사로부터 새로운 시대에 언론사들이 어떻게 적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강의를 들은 셈이다. 물론 그만은 홍 이사에게 언론사들이 왜 그렇게 바뀌지 않는지에 대해 중간중간 설명해야 했지만 사실상 그도 모르는 바는 아닐 것이다. 어쩌면 그의 생각과 언론사들의 접근 방식을 일치시켜 나가야 하는 숙제가 바로 그가 풀어야 할 그것일지 모른다.

결론은 없었지만 그만은 다시 한 번 미디어의 미래에 대한 깊은 대화를 인생 선배와 나눴다는 자체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감사합니다. 홍은택 이사님.^^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7/06/13 23:42 2007/06/13 23:42

지난 5월 30일 세계적으로 한국 인터넷이 주목받는 일이 생겼다. 98년 이후 로고와 검색입력창, 두개 버튼으로 단순한 첫화면을 구성했던 구글이 한국에서만 인터페이스를 바꿨기 때문이다.

구글R&D센터가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면서 내놓은 첫번째 결실이었다. 구글코리아의 조원규 R&D센터장은 이에 대해 "구글 내부에서 매우 센세이셔널한 사건이었다"고 말한다.

조원규 센터장은 12일 기자들에게 최근 구글 직원 채용에 하루 절반을 투자하고 있다고 밝히고 항간의 구글에 대한 갖가지 오해와 소문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구글코리아 UI 변화 '한국은 따로 보겠다'는 의지

조 센터장은 구글코리아 페이지의 변화에 대해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설명한다. 전세계 158개 지역에서 가장 먼저 한국에 새로운 UI가 적용됐다는 것은 기술적인 진보의 의미라기보다 한국에서는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보고 있다.

그는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구글코리아 직원들이 첫 업무를 개시했으며 그동안 구글 내부의 프로젝트가 새로 만들어져서 외부에 노출되기까지 힘든 과정이 있다. 이 과정을 거쳐 나온 것이니만큼 구글 내부에서도 한국서비스의 UI 변화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 외부에서는 확 바꾸지 않았다는 불만도 있고 옛날 구글 스타일이 좋다는 반응도 있지만 구글 내부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이라고 그는 전했다.

한국 개발자들의 충원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가시적인 성과에 대한 외부의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렇다 할만한 결과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 그는 "한국 개발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쯤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외 언론에서 종종 지적되고 있는 구글의 폐쇄성에 대해서는 "외부에서 비쳐지기에 구글이 숫자나 서비스 런칭 계획 등을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 폐쇄적이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이는 숫자가 노출되어 곡해받는 현상을 우려해서다"라고 말하고 "특히 점유율이나 트래픽 등의 숫자는 사실상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AJAX(에이잭스) 기술이 확산되고 있는데 이 처럼 페이지가 새로 열리고 닫히는 방식이 아닌 한 페이지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페이지뷰나 트래픽으로 단순히 비교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내에서 한국 포털 사업자들이 하는 사업을 따라갈 생각은 없다. 혁신적인 서비스를 내놓고 한국에서 실험하고 전세계에 그 서비스를 보급시키는 것이 우리 임무"라고 강조했다.

하루 절반을 채용 업무에 투자

그는 또한 일부 한국 개발자 채용에 대한 잘못된 소문을 적극 해명했다.

그는 하루에 절반 이상을 채용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부 지원자가 해외로 면접을 나간다거나 열 몇 번의 면접을 거쳐야 한다는 식의 소문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한국지사가 설립된 이후로 국내에서 대부분의 면접이 이뤄지며 해외 직원이 면접을 보기 위해 한국으로 오기도 한다. 열 몇 번씩 면접을 보기는 힘들다"고 조 센터장은 주장했다.

"한국 개발자들의 수준은 세계적이다. 다만 외부에 비쳐지기에 채용절차가 까다롭고 채용인원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일부 맞지만 기술적인 숙련도보다 구글의 문화에 적합한 사람을 뽑다보니 나올 수 있는 과정이라고 본다. 구글은 딱히 숫자를 정해 놓고 일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올해 안에 100명이 뽑힐 수도 있고 적임자가 나타날 때까지 2, 30명 수준밖에 채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최근 외국 기업체의 국내 R&D센터 유치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오히려 국내 인터넷 사업자와의 경쟁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다. 이부분에 대해서도 조원규 센터장은 한국 정부와 구글이 양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조건으로 들어온 점을 강조하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준주 합의에 의해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하소연했다.

조 센터장은 "일부 언론에서 계속 지적되고 있는 정부로부터 직원 급여를 지원받는다는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는 내용이며 이는 정부와 구글이 한국내 R&D센터를 유치하면서 맺었던 계약사항에도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약속에 의한 것이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은 사실확인에 있어서 오류가 있지만 이 또한 내용 자체를 공개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반박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채용과정에서 경쟁사의 민감한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는 오해에 대해서도 억울한 측면이 있다고 그는 말한다.

"면접 현장에서도 우리는 지원자에게 현직장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말하지 말도록 주의를 주고 있으며 면접에 유리하게 보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누설하는 지원자는 오히려 감점을 주고 있다"고 조 센터장은 주장했다. ⓢ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7/06/13 12:17 2007/06/13 12:17

야후! 코리아(www.yahoo.co.kr)는 전세계 5억 2500만장의 사진이 등록돼 있는 온라인 사진공유 커뮤니티인 Flickr(플리커)(www.flickr.com)의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야후!는 전세계 사용자들이 Flickr(플리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비롯, 불어, 독어, 이태리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중국어 등 총 7개국의 언어 서비스를 추가했다.

지난 2005년 3월 야후!가 인수 한 Flickr(플리커)는 이용자들이 사진에 태그(꼬리표)를 달아 비슷한 주제별로 쉽게 이미지를 저장, 분류, 검색, 공유할 수 있는 사진공유 서비스로, 웹 2.0 서비스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 회원들의 참여를 통해 5억 2500만 장의 사진이 업로드 되었으며, 매일 평균 150만 장 사진이 올라오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Flickr(플리커)는 대량의 사진을 간단한 도구를 통해 손쉽게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 별로 그룹을 생성하거나 ‘세트’(사진첩)를 구성해 타인과 쉽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전체/지인(친구, 가족)/비공개 등으로 사진 공개단계를 설정 할 수 있다.

야후! 코리아 김진수 대표이사는 “플리커(Flickr)는 이미 회원 중 50% 이상이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유저들이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한글 태그 사진 컨텐트 역시 이미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라며 “한국어 서비스 확대를 통해 보다 쉽게 글로벌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국 유저들의 UCC(User Created Content)힘을 세계에 보여 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Flickr(플리커)는 7개 언어 추가서비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번 달을 시작으로, 베를린, 파리, 런던 그리고 몬트리올에서 글로벌 커뮤니티 행사를 연이어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 역시, 글로벌 커뮤니티 오프라인 행사를 국내에서 계획 중이다. ⓢ
---------------------------------------------------------->

플리커에 대해서는 제가 많은 언급을 하지 않았었는데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많은 분들이 관심있게 지켜보는 사이트죠.

솔직히 구글이 유튜브를, 그리고 야후가 플리커를 인수한 것은 모두 '커뮤니티' 전략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미 카페(동호회)나 그룹스 등 관련 커뮤니티가 있지만 형식으로부터 비롯되는 커뮤니티라는 역발상을 보여준 예가 바로 유튜브와 플리커였으니까요.

엄청난 자산이 실시간으로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쌓이고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와 사진 콘텐츠는 텍스트기반의 커뮤니티보다 훨씬 자극적이며 중독성이 강하게 마련이죠.

또한 매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텍스트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흐름보다 시각적인 디스플레이에도 적당하죠.

야후의 플리커의 경우 웹 2.0의 새로운 조류인 '태그'라는 것을 딜리셔스와 함께 보여준 사례가 되겠죠.

참고 포스팅 : 2005/12/10 콘텐츠 新분류법 '꼬리표 달기'

찬찬히 둘러봐야겠지만 아직까지 한국 소비자들이 보기엔 어색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것도 사실이고 뜬금없이 유료화에 대한 광고 문구도 거슬리지만.. 의심의 여지없이 플리커는 세계적인 서비스인 것만은 사실입니다.

야후와 구글의 글로벌 서비스들이 차근차근 한국의 토양에 맞춰져 나올 것을 생각하니 국내 포털들 역시 조금은(또는 많이? 아니면 전혀?) 긴장해야 하지 않을까요?

조만간 오버추어의 코드명 '파나마'(새로운 스폰서 검색)가 곧 오픈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 매체사들을 상대로 구글의 애드센스 영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도 관전 포인트가 되겠죠. 아직 다음의 애드클릭스는 좀더 지켜봐야 할 거 같구요.

모든 사람들이 말하듯 그만은 말합니다. "경쟁은 좋은 것이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7/06/13 10:21 2007/06/13 10:21

카테고리

전체 (1951)
News Ring (644)
Column Ring (295)
Ring Idea (1004)
Ring Blog Net (8)
Scrap BOX(blinded) (0)

달력

«   2007/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그만'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 Supported by TNM
Copyright by 그만 [ http://www.ringblog.ne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