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일이든 먹고 사는 문제에 맞닥뜨리면 일정부분 이해가 되는 구석이 생긴다. 예를 들어 가난한 자의 음식물 도둑질은 용납은 안 되지만 전후 사정 다 알면 '저런, 어쩌나...그래서 그랬구나.. 쯧쯧' 정도의 반응은 나오게 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인간의 법은 행위의 결과와 의도와 동기도 중요한 범죄 구성 요소로 넣고 있다. 그런데 언론사가 돈을 미끼로 작은 스타트업에게 방송 출연이나 인터뷰를 요청하고 안 한다고 하면 온갖 회유와 은근한 협박을 일삼는다면 이게 단순히 먹고 사는 문제여서 그랬다고 치부할 수 있을까?
얼마 전 업계 후배로부터 연락이 왔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바쁘실것 같아서 메시지로 보낼께요), 화요일에 eOOOTV에서 'OOOO기업현장'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저희 회사를 소개해준다는 연락을 받았어요. 한달에 3~4번정도 방송해준다고 하는데, 촬영비가 250만원이네요. 나쁘지는 않은것 같은데 이걸 할 필요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형이 아무래도 언론쪽에 계셨으니까 조언을 좀 구해도 될까요? 할까요, 말까요.."
대답은 "하지마... 나쁜 금액은 아니겠지만 그런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 뭔 상을 받았다며,, 뭐에 선정됐다며... 괜히 한 번 하면 다른 언론사들은 우린 왜 안 하냐며.. 뭐라고 하고..
웬만하면 하지마삼"
그래서 이 후배는 안 한다고 했는데 갑자기 방송대본까지 주었으니 대본비용을 내놓으라고 요구한다는 메시지가 날라왔다.
"어제 그쪽에서 저희쪽에 방송대본을 보내줬는데 오늘 우리가 안하겠다고 했더니 다 우리 책임이고 대본비용 내라고 하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무조건 잘해보자고 (약간 협박성) 하는데요."
조금 더 알아보니 이렇게 접근해 온 곳은 해당 방송사의 외주제작사로 해당 방송사는 '우린 관련 없고 그런 사실도 모른다'는 답변이었고 당연히 외주제작사는 상호 협의해서 대본준 것부터가 시작이니 중간에 멈춘 것에 대한 응당 책임을 지고 대본료 정도는 청구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뻔뻔함을 드러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후배는 더이상의 대응을 피했고 몇일 동안의 집요한 전화와 문자 회유 시도가 있었지만 별 문제 없이 넘어갔다.
하지만 이런 내용이 생각보다 많고 기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사장들만 겪는 문제가 아니라 갓 창업해서 허덕허덕 세상에 자기를 알리려는 많은 스타트업 관계자들에게까지 이런 미디어 영업 방식이 번지고 있는 것에 화가 난다.
최근 어디서 돈냄새를 맡았는지 언론사들이 너도나도 스타트업에 관심을 나타내면서 각종 숟가락 얹기가 성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런 일이 더 많아질까 걱정된다.
지금부터 아래 내용을 잘 살펴보기 바란다. 이미 업계에서는 관행처럼 사용되어 온 작은 언론사(외주제작사)가 먹고 사는 법이다.
이런 식으로 접근해올 것이다.
"안녕하세요. 사장님 계신가요?" ... 꼭 사장(즉 결정권자)과만 통화하려 한다.
"다름이 아니라 저희는 000방송 000 프로그램 제작팀입니다." ... 대개 어슴프레 들어봤던 방송사나 프로그램 이름을 댄다. 방송사 이름이 딸리면 어느 어느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다며 시청해볼 것을 권하기도 한다.
"예전에 출연해주신 사장님께서 추천을 받아서 그런데요." ... 사실일 수 있다. 보험회사 직원들도 그렇지만 이런 경우 귀찮아서, 또는 강압이나 회유에 의해서 남을 추천하는 행위는 빈번하다.
"사장님을 방송 프로그램 패널로 섭외하고 싶어서요. 일정이 어떻게 되시나요?" ... 많은 사장들은 일단 일정을 잡아두어야 한다. 게다가 방송이라고 하니 다들 혹 해서 일단 비어 있는 시간을 말한다.
"네, 그 일정으로 맞춰보구요. 저희들이 사전 인터뷰 질문지를 드리겠습니다. 답변 좀 부탁드려요." ... 얼떨결에 '네'하고 대답한다. 어떻게든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야 하는 사장 입장에서는 안 하는 게 이상한 거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상황이고 이런 식의 섭외 방식은 전혀 이상하지도 특이하지도 않다.
질문지와 답변을 회신하고 방송 일정까지 협의되는 과정에서 문제는 다음부터다.
"그런데 사장님, 지난 번에 저희가 미리 말씀드린다는 것이 늦게 말씀드리게 되었네요. 아시다시피 저희들도 여력이 넉넉치 않아서요. 이번 방송 출연 건으로 광고 홍보비를 겸해서 250만원 정도의 협찬 요청이 있을 겁니다. 여력되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 물론 방송이라서 이런 거고 지방지나 잡지 등은 정기구독을 요청하거나 지면 광고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지면 광고를 요청하는 사례가 더 많았는데 문제는 경쟁지까지 광고를 보고 몰려들어 비슷한 요구를 한다는 불만이 많아지면서 정기구독 협찬으로 드러나지 않게 유도한다. 무슨무슨 상에 선정되었다고 돈을 내라는 경우는 고전적인 방법에 속한다.
여기서부터 사장은 갈등이다. 특히 스타트업 사장이라면 이 돈이면 네 달치 직원 회식비일 수 있다. 그만큼의 값어치가 있는 서비스인지 검토해봐야 하는 일종의 용역 서비스가 되어버린다.
사장은 250만원의 값어치가 있다고 판단돼서 돈을 내고 진행한다면 모든 것이 분명하다. 물론 시청자나 독자들은 이 회사를 알 기회가 생기겠지만 돈을 내고 고육지책으로 나왔다는 사실은 알지 못할 것이다. 협찬금이기 때문에 광고나 홍보비 처럼 효과를 검증할 수단도 없이 그냥 '출연'한 것으로 모든 내용은 종결된다.
하지만 사장이 미디어 서비스에 비해 좀 비싸다고 생각되면 거부를 하게 될 터다. 이 때 깔금하게 물러나주면 '양아치' 소리는 안 들을 것이다.
하지만 온갖 협박을 하거나 재차 몇 번의 출연을 옵션으로 더 요구하는 등의 회유가 이어질 것이다. 웬만하면 거절하는 것이 좋다.
더 이상의 협박이 이어진다면 그 내용을 차라리 블로그 등으로 까발리고 벤처스퀘어 등 스타트업과 관련된 품앗이 매체에 이 내용을 알리는 것이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길이다.
미디어, 작은 언론사로 먹고 살기 힘들다. 이건 내가 누구보다 잘 안다. 하지만 그래도 상도의가 있다. 먹고 살기 힘든 나를 비롯한 미디어들에게 최소한의 상도의란 이런 것이다.
1. 홍보와 광고성 기사는 분명하게 처음부터 비용집행이나 기타 프로그램과 연계됨을 돈을 내는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
2. 서로 조건이 안 맞거나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해서 기사 등으로 보복해선 안 된다.
3. 동향 기사와 보도자료, 인터뷰 등은 고유의 언론 기능이므로 편집진의 선택에 맡긴다.
4. 기사는 기사로, 홍보는 홍보로서 충분히 독자들에게 인지되어야 한다.
5. 기사로 인해 흥하게 된 업체들도 다 자기가 잘나서 그런 것이지만 언론의 기능에 대한 최소한의 고마움과 추후 보답에 대한 예의는 자율적으로 생각했으면 좋겠다.
추가로 이 내용과 관련된 페이스북에 달린 댓글들도 확인하기 바란다.
[명승은 페이스북]
* 덧, 문득... 요즘 '대나무숲' 계정이 유행이라던데.. ^^; 미디어업계의 대나무숲이었던 이 링블로그도 익명성이 없어지면서 많이 무던해져버렸지요? ㅋㅋ 익명의 가치는 이런 상황에서 막 앞뒤 안 재고 까대면 원래 빛을 발하는데 말이죠.
2012/09/16 14:30
2012/09/16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