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e잉크 기반의 전용 단말기 시장은 그다지 전망이 밝아 보이지 않는다는 개인적인 편견이 많이 들어간 리뷰라는 점을 감안하고 읽어주길 바랍니다.가볍고 확실히 눈이 편하다. 화면전환은 물론 기능 구현은 답답하다.
한 달 여 지난 시점인 거 같다. 비스킷을 받아들고 출퇴근을 시작한 것이. 인터파크 비스킷은 단순히 e북 단말기가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유통사가 직접 기획한 전용 단말기 이름이자 차세대 e북 플랫폼 서비스다.
인터파크INT 도서부문(이하 인터파크 통칭)에서 그렇게 말했다. 비스킷은 현재 유통되는 e잉크가 적용된 단말기 말고도 아이폰용과 아이패드 어플 등을 제공하는 멀티 플랫폼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아직은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용이 나와 있지 않으니 섣불리 미래를 이야기하진 말자. 지금 나와 있는 비스킷 단말기만으로도 할 말은 넘쳐나니까.
우선 이런 종류의 e북은 애초에 미리 내놓든가, 아니면 아예 꺼내지도 말았어야 했다. 더구나 이런 엉망진창 인터페이스의 키패드는 누가 디자인했는지 당장에 감봉을 시키든가 다른 일을 시켜야 할 것 같다. 야속하다고? 어쩌겠는가. 이토록 엉터리 키패드 디자인과 엉망진창 인터페이스에 질려버렸는 걸.
e잉크 디스플레이의 속성은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아마존의 킨들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으며 국내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아이리버, NUTT에서 만든 제품과 비교해봐도 거기서 거기다. 문제는 e잉크 특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극명하게 나뉜다는 것이다.
먼저 장점으로는 e잉크는 눈이 편안하다. 오랫동안 볼 수 있는 저전력 구조다. 움직임이 없는 정지 화상의 디테일과 명암이 뚜렷해 만화책도 인쇄한 것과 큰 차이 없이 볼 수 있다. 백라이트가 없다는 것은 단점이라기보다 장점에 속한다. 깜빡임은 없다. 화면 전환을 위한 것 말고. 단점은 이런 장점들 때문에 있는 것이다. 눈이 편안해야 하니 LCD의 장점인 '발광체'가 아니라는 점이고 이는 역동적인 장면이나 컬러와 디테일한 해상도를 구현하기 힘들다.
e잉크에 대한 호불호는 책을 자주 읽는 사람들에게는 긍정적으로, 스마트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익숙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부정적으로 느껴진다. 요즘 들어 비스킷을 들고 다니며 사람들에게 보여줄 때마다 누구나 화면에 손가락을 대고 눌러보거나 이리저리 손가락으로 터치하려는 모습을 보면서 만감이 교차한다. 벌써부터 터치 디스플레이를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구나 하는 것과 어차피 책을 읽으면서 빠른 반응 속도를 찾는 것이 얼마나 허황된 요구인지에 대한 간극 같은 것이다.
이런 건 받아들여야 한다. e잉크는 원래 그렇다. 아마 향후 수년 동안 e잉크는 느린 반응 속도, 저해상도, 저전력, 제한적인 색표현 등을 단점으로 안고 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e잉크가 LCD나 LED와 다르게 전자책 산업계에서 환영받는 이유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기술적인 한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자, 그래서 'e잉크 기반의 비스킷'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것이다. 더구나 키패드는 극악의 사용성을 보여준다. 쉽게 상상해보면 왼쪽과 오른쪽 위에 큼지막한 'Next' 버튼이 괜찮아 보이기도 하고 아래 쿼티 방식의 키패드의 존재만으로도 기본적인 입력은 끝난 것 같아 보인다. 하지만 최소한 '인터페이스'란 것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좌우상하' 화살표가 작은 것은 둘째치고 '엔터'키가 화살표 바로 옆에 조그많게 자리하고 있는 것을 보면 기가 막힐 따름이다. 이건 제조사나 인터파크 측에서 제아무리 '사용자를 배려했다'는 식으로 변명해봤자 열이면 8, 9명의 사람이 불편하다고 느끼고 있고 아예 '왜 이렇게 했는지' 이해 조차 하려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가로보기에서는 아예 메뉴가 눌러지지도 않는다.
반대로, 기본적인 '비스킷 서비스'는 만족스럽다. 인터파크 서비스에서 책을 고르고 비스킷에 담기를 눌러 놓으면 비스킷을 켜고 업데이트 기능을 작동시키기만 하면 손쉽게 전자책을 받아볼 수 있다. 3G망을 이용하고 더구나 무료이니 편리하고 만족스럽다. 아마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용 비스킷이 나온다면 더욱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것만 같다.
신간이 적다는 투정이나 베스트셀러가 적다는 불평은 솔직히 인터파크에 대놓고 불평할 일만은 아니다. 전반적인 전차책 시장에 대한 고민 때문이기 때문이다. 인터파크가 '비스킷 플랫폼'을 구상하면서 '비스킷 단말기'와 '비스킷 전자책 유통 플랫폼'을 동일시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차라리 e북 비스킷 리더기는 다른 이름을 부여하고 비스킷 플랫폼 서비스는 좀더 포괄적인 브랜드 전략을 구상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 e북 비스킷 리더를 만져보고 실망하게 될 소비자들에게 적어도 추후 멀티 플랫폼에 대한 기대라도 갖게 할텐데...
정리를 해보자면, 인터파크가 의도한 비스킷 플랫폼은 편리한 전자책 유통 플랫폼 서비스였을 터였을 것이지만, 비스킷 전자책 리더기는 멀티미디어 스마트폰과 터치 디스플레이에 점차 익숙해지고 있는 얼리어답터는 물론 전통적인 책을 좋아하는 다독가들에게도 그다지 매력적인 제품이 아니다. 단지 '눈이 편안한 오래 가는 책 보는 기기'라는 장점 말고는 딱히 내세울 것이 애매한 기기를 내놓고 말았다.
하지만 비스킷 서비스가 견지해야 할 것은 편안한 기기에 대한 기대를 얼른 접고 좀더 나은 유통방식과 좀더 획기적인 콘텐츠 수급 방식 확대를 기획해야 할 것 같다. 이제 디스플레이가 단순히 TV와 PC 정도에서 스마트폰과 스마트 디스플레이(또는 전자책 전용 단말)가 추가되면서 4스크린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통신사들과 경쟁하려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편리함'과 '일관성'이기 때문이다. 비스킷 단말기가 많이 팔리지 않더라도 비스킷 서비스가 실패하지 않을 수 있는 조건은 사실 인터파크가 만들기 전에 시장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어떻게 적응할 것이냐가 진정한 숙제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