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절반 정도만 읽은 상태에서 책 리뷰를 처음 써본다.
* 내용중 일부를 업데이트하고 이 책의 마케팅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글을 재발행합니다.
6살짜리 아이의 아빠가 가질 수 있는 교육에 대한 관심은, 고작해야 우리 아이가 글자를 읽고 쓸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신기함 정도다. 하지만 점점 주변에서 부모들끼리 만나면 '우리 아이는 누구누구보다 말을 잘한다',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그림을 잘 그린다'는 이야기를 하거나 듣는 경우가 많아진다.
'누구보다'라는 비교급이 많아질수록 '우리 아이는'이란 기대에 가득 찬 시선과 관심이 모이고 이런 관심들이 '경쟁'을 만들어간다. 세상이 다 그렇게 치열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강박증은 이미 우리나라 전체 국민이 갖고 있는 정서가 아니던가. 나 하나 삐딱하게 생각한다고 해서 세상이 바뀌겠는가.
여기서 명문대는 결국 '명문대' 위주의 국가 지식 체계의 전반적인 피라미드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제기의 핵심이다. 사람들은 성공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 모두 '명문대'를 지망하며 실제로 '명문대' 출신들은 국가 요직에서 국가를 이끌어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당연히 인식의 순환의 출발점과 도착 지점이 명문대로 모이게 된다.
"모든 원인은 명문대라는 것 때문이에요. 명문대를 지금 당장 없앨 수는 없지요. 최소한 지금부터, 그리고 부모들부터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북포럼 인터넷 방송에서 박성숙, 블로거 무터킨더님이 마무리 발언을 하면 했던 말이다. 세상이 바뀌는 임계점에 다다르기까지 겪어야 하는 인내와 고난, 그리고 실패와 좌절, 이후의 모든 과정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걱정부터 하는 우리들에게 톡톡 어깨를 두드려주는 말 같다.
'괜찮아. 천천히 걸어가도 돼. 뛰어가지 않아도 인생은 충분히 행복할 수 있어'
독일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격', '참된 인간', '창의성'이라고 하는데 이 것들이 가능해지려면 '낮은 수준의 경쟁'이라고 무터킨더님은 역설한다. 아니, 체험해보니 그럴 수밖에 없다고 한다. 꼴찌라는 말 자체가 없는 독일의 교실에서 아이들끼리의 교류와 소통의 기준은 부모의 재산이나 성적이 아니라 '인간성'이라는 말이다.
저자는 많은 부분 경쟁이 없음으로써 가질 수 있는 사회적 긍정적 효과에 대해 이야기한다. 대학은 가고 싶고, 필요한 사람만 가는 곳이라서 누구나 모든 사람이 가기 위해 인생을 중복 낭비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독일인은 '명문대'에 진학하기 위해 사는 것보다 그 시간에 자기가 잘 할 수 있고 잘 하고 싶은 것을 찾는다는 것이다. 심지어 독일인들은 '명문대'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어서 대학을 고르는 기준도 '집 근처'라는 것이다.
초등생들이 7시에 잠이 들고 8시면 부모들까지 잠자리에 든다고 하니 수면 부족이 없는 나라에서 무엇이 그렇게 절박할까. 심지어 직장내 회식도 일년에 한 번, 그것도 볼링이나 저녁 식사 정도라니 부모들이 가정적일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꼴찌도'라는 묘한 어감은 부모들에게 이 책을 집어 들게 만들 것이다. 하지만 정작 '꼴찌도 행복할 수 있는 비결'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꼴찌라는 말 자체가 없는 사회'를 보여주고 있으니 이율배반이 아닌가. 그래서 사실 이 책이 노린 것은 '작은 시민 혁명'이 아닐까 싶다. 부모들부터 바뀌어보자는 '생활 선동'이다.
그래서 독일로 가고 싶은가?
저자는 말한다. 우리나라 사람이 독일 가서도 분위기 적응 못하고 과외시키고 공부시킨다고. 결국 부모가 바뀌지 않으면 아이들이 고생하는 것은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독일이나 다 똑같지 않겠는가. 태양을 가르키는 손가락만 보지 말라는 낮고 힘 있는 목소리가 이 책 안에 담겨져 있다.
얼른 나머지 절반을 읽어야겠다.
--------------->
현장 트윗한 내용입니다. 맞춤법은 무시해주세요. ^^; (참고로 시간의 역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