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에서 시냅스가 많이 형성될수록 연상작용은 반복 또는 강화에 의해 더 강력해지는 것처럼, 모든 웹 사용자의 집단 행동의 결과로 웹의 연결은 유기적으로 성장한다...(중략)...태깅을 사용하면 경직된 카테고리와 달리 태그를 사용하는 두뇌들의 연관관계들이 중첩되는 것을 허용한다." -팀 오라일리의 웹2.0 정의에서 집단 지능(collective intelligence)에 대한 설명


"폭소노미(folksonomy)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HTML문서에 존재하는 '메타태그(metatag)'를 생각해보라. 아니라고? 다른 것이라고? 흠.. 좀더 생각해보자. 맞는데 뭘." -존 드보락의 PC매거진 '태그를 달 것이냐 말 것이냐, 그것이 문제로다'에서


블로그들 사이에 차세대 인터넷을 설명하는 단어로 '웹2.0'과 '시만틱 웹'에 대한 논란과 더불어 '폭소노미(folksonomy)', 또는 '태깅(tagging)'에 대한 개념과 이를 통한 새로운 분류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흔히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Folk+order+nomos)’으로 알려진 폭소노미는 키워드로 분류하기, 태그 붙이기(tagging), 또는 꼬리표 붙이기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블로거가 인터넷과 관련된 글을 써 놓고 '인터넷', '웹' 등의 태그를 붙이면 이 태그만으로 새로운 카테고리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인간 뇌의 연상법에 기초한 꼬리표 붙이기
이 꼬리표 붙이기는 전통적인 분류법인 위에서 아래로 피라미드 구조를 갖춘 카테고리 분류 방식보다 훨씬 '인터넷 답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각 키워드들은 한 콘텐츠에서 새롭게 생성되기도 하고 함께 묶인 꼬리표들이 서로 연결과 연결을 형성하면서 각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런 모습이 마치 사람의 두뇌가 생각하는 과정인 시냅스의 연결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좀더 인간적인 접근법이라는 말도 나온다.


서비스형 블로그도 오픈돼 있는 미국에서 서로의 관심사를 서로 엮어 내려는 시도로 이러한 태그를 사용하기도 하며 각 콘텐츠의 비어있는 부분을 새로운 콘텐츠로 보강하려는 의도로도 사용된다. 해외에서 북마크 공유 사이트 델리셔스(del.icio.us/tag)와 포토 블로그 플릭알(flickr.com/photos/tags)과 메타 사이트 테크노라티(technorati.com) 등에서 구현된 모습에 네티즌은 열광적으로 서로의 DB를 연결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꼬리표붙이기가 본격적인 활성화에 들어서고 있다. 최근 블로그 기자 뉴스를 시작한 다음 블로그에서는 일찍부터 태그(tag)를 이용한 블로그 서비스(blog.daum.net/help/1170817)를 실시하고 있으며 야후!코리아도 최근 태그를 활용한 허브(kr.hub.yahoo.com)라는 서비스를 베타 운영중이다. 전문 블로그 사이트인 이글루스의 경우 태그를 활용해 같은 주제로 글쓰기 기능을 활용한 느슨한 커뮤니티 형태인 '가든(valley.egloos.com/gd_valley.asp)'을 운영중이다. 국내 설치형 블로그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태터툴스(www.tattertools.com)로 만든 블로그들도 이러한 태그 방식을 사용해 임의적인 키워드 사전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블로그 메타사이트인 올블로그(www.allblog.net)는 기존 키워드들과 '주제어'를 함께 활용한 검색을 도입했으며 싸이월드는 '미니링(cyworld.nate.com)'이란 이름으로 태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650만명의 회원을 확보한 국내 최대 서비스형 블로그인 네이버 블로그(blog.naver.com)도 최근 태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검토에 나섰다고 관계자가 밝힌 바 있다. 최근 새로 등장한 IT 전문 미디어인 스팟뉴스(www.SpotNews.com)은 뉴스 관리자가 태그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형태인 '이슈팟'이란 서비스를 도입하기도 했다.


이들 태그의 특징은 어디가 시작이고 끝인지를 알 수 없는 구조라는 점이다. 각 키워드들을 논리에 의해 연결하기 보다 콘텐츠의 내용과 성격 등을 사용자 스스로 판단해 키워드들을 나열해 놓으면 서로 중복되는 키워드들이 각각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마치 뫼비우스 처럼 서로 연결하다 보면 시작은 했지만 끝을 알 수 없는 구조로 빠져들게 된다. 이른바 인터넷 콘텐츠 읽기 마니아들이 하는 '태깅놀이'는 지식을 좀더 심화시킬 수 있다는 매력을 갖고 있다.


이는 웹2.0을 주창한 팀 오라일리를 비롯한 인터넷 선구자들이 말하는 '집단 지식 진화'의 개념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태그가 이미 표제어 규모나 내용면에서 브리태니커를 능가했다는 평가를 받는 자발적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www.wikipedia.org)'와 연결될 때의 모습은 기존 콘텐츠 주도권을 갖고 있던 권위자들의 지식에 도전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게 된다는 것이 인터넷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내용 불일치, 태그 스팸 등 우려
하지만 태그 기술이 어떻게 발전할 것이냐를 놓고 앞에서 브로락이 말했던 바를 생각해볼 필요는 있다. 기본적으로 한 콘텐츠가 담으려 하는 내용이 '관련되거나 연상되는 단어나 문장'이라면 HTML 코드 앞 단에 등장하는 '메타태그(metatag)'와 다를 바가 없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예전에 검색기술이 일천했을 당시 기본적으로 웹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검색하려 하지 않고 자동화된 웹검색로봇(스스로 웹을 돌아다니며 필요 정보를 수집해 인덱싱하는 기술)들이 메타태그 분석에만 매달렸던 때가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 메타태그 기술을 역 이용하면 자신의 콘텐츠에 더 많은 접속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이른바 '낚시질' 키워드를 무작위로 넣는 경우가 생겼던 것이다. 초기 검색엔진들이 관련성 없는 웹페이지들을 무순으로 나열했을 때의 문제가 지금 태그 방식의 기술이 발전하고 태그 하나하나를 따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는 기술이 실현됐지만 이마저도 콘텐츠 생산자에게 태그 붙이는 방식을 스스로 결정하게 함으로써 생기는 문제를 드보락은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이슈의 중심으로 떠 오른 '황우석'이나 '줄기세포' 등의 키워드를 자신의 일기나 홍보하려는 내용, 또는 정 반대의 역 정보를 흘리는 수단을 위해 무차별적으로 태그로 활용한다면 이른바 '태그 스팸' 현상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도 높다. 또한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자발적이란 점에서 자신의 콘텐츠가 제아무리 여러 태그를 붙일 수 있는 내용이라도 스스로 붙이지 않으면 그 콘텐츠는 태그들 사이에서 동떨어진 외톨이 신세가 될 수 있다. 예전의 태그를 붙일 수 없던 시절에 생산된 콘텐츠의 분류는 또한 어떻게 한단 말인가. 그리고 인터넷 하나만으로 무수하게 만들어지는 오탈자, 외계어, 외래어, 띄어쓰기 불일치 등의 문제는 누가 정리해줄 것인가.


웹2.0 개념이 단지 시만틱 웹을 비즈니스형으로 변형시킨 마케팅 용어쯤으로 폄하하고 있는 이들은 폭소노미 조차 새로운 개념이라기 보다 씽크맵(연상되는 단어를 무작위로 연결시켜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나 기존의 메타태그의 변형을 듣기 좋게 새로운 단어를 만든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렇듯 여러 문제를 내재하고 있지만 인터넷의 극단적인 민주주의적 운영방식으로도 성공을 거둔 오픈소스, 위키위키 등의 사례로 봤을 때 많은 전문가들은 어떤 식으로든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누리꾼의 역할이 차세대 인터넷을 이끌 것이란 기대를 갖고 있다.


[명승은 기자]


SpotNews.com&매경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경인터넷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5/12/10 23:25 2005/12/10 23:25

TRACKBACK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카테고리

전체 (1951)
News Ring (644)
Column Ring (295)
Ring Idea (1004)
Ring Blog Net (8)
Scrap BOX(blinded) (0)

달력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그만'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 Supported by TNM
Copyright by 그만 [ http://www.ringblog.ne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