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14 05:25
인터넷의 역사 The History of Internet Click-->English Version is Here<--Click Director and Animator by Melih Bilgil Translation by Karla Vesenmayer Scientific Management by Prof. Philipp Pape Journal + 정리(받아 적기+번역+의역+소제목) by Joon H. Park Used...2009/05/14 05:08
인터넷의 역사 The History of Internet Click-->English Version is Here<--Click Director and Animator by Melih Bilgil Translation by Karla Vesenmayer Scientific Management by Prof. Philipp Pape Journal + 정리(받아 적기+번역+의역+소제목) by Joon H. Park Used...2009/05/12 14:49
얼마전 어떤 주간지에 의미있는 기사가 하나 실렸다. 그 잡지를 정기적으로 읽어오지 않았던 터라 이제서야 그 기사를 읽게되었지만, 참 싸구려 생각에 골똘해 있던 모두에게 신선한 충격이다. 기사란 참 웃긴 것이었다. < 세계 최초로 '덕후' 정당위원회 결성됐다 > 지난 대선 때 후보까지 내었던 사회당에서 뻘짓거리 같은 위원회를 하나 결성했다. 이른바 "덕후위원회". 덕후들의 위원회라는 뜻일진데, 덕후라는 단어가 생소한 사람들을 위해 사전적 정의를 내려주..2009/05/10 19:48
블로그를 하게 되면서 블로거들과 만날 일이 점점 많아진다. 가끔은 여의도를 지나는 길이라며 연락을 주기도 하고 때로는 방명록에 만나자는 요청과 메일로 기고나 인터뷰, 강연을 요청해 오기도 한다. 같은 관심사를 가졌다는 것, 블로그를 한다는 것만으로 기꺼이 상대에게 시간을 내주고, 기고를 하고, 인터뷰를 한다는 것이 과거의 나에겐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요청 공문이나 전화로 왔으면 거절할 일을 블로그로 들어온 건 어쩐지 거절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2009/05/07 09:51
피해자요구없어도 알아서 삭제해야 하는 포털 기사, 법원판례, 이에 대한 그만님의 글과 마인드프리님의 글, 그리고 네이버의 입장2009/05/06 13:36
그만님이 섹시한 타이틀의 글을 하나 올렸네요. 그만을 꾸짖은 연합 기자에게 보낸 답장이라는 글입니다. 그만님이 블로그에 쓴 철밥통 연합뉴스 종사자 여러분 축하드립니다라는 글을 본 어느 연합뉴스 기자가 메일로 불편한 심기를 피력한 모양인데, 그만님이 그걸 공개적으로 씹고 있는 내용입니다. 어린이날인 어제 얼라들한테 하도 빡씨게 끌려다닌 끝이고, 게다가 연휴 동안 탱자탱자 놀아버린 탓에 길게 썰을 풀고 있을 형편은 못 되지만, 1. 연합뉴스같은 철밥통...2009/05/03 15:21
이 책은 입소문 마케팅에 관한 책입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입소문을 통해 어떻게 제품을 홍보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담고있는 책이라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책이 필요한 사람은 기업의 홍보나 마케팅 담당자 그리고 블로그를 통해 수익을 얻으려고 하는 사람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이나 여타 국가들의 경우 블로그는 벌써 미디어의 한 축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상당한..2009/05/03 15:21
간만에 블로그스피어를 돌아다니다 보니 모 전자회사에 TV 체험단을 모집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전에도 노트북, 핸드폰 등에서 이런 유사한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것을 보았기에 그다지 새롭거나 놀라울 것은 없지만 바로 그 점이 블로그 마케팅의 한계라는 생각이 들어 글을 적어봅니다. 기존의 마케팅의 경우 매스미디어를 통한 대규모 광고를 통한 마케팅이었다고 하면, 사용자의 정보나 트래픽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온라인 마케팅이 점차 우세를 점하고 있고,..2009/04/30 16:07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전국민적으로 사랑받던 2004년 즈음에 네이버를 중심으로 블로그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블로그 이용자는 미니홈피의 작은 화면이 싫어서 옮긴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의 블로그는 자신의 사진을 올리고 일상을 기록하며 지인과의 소식을 주고받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던 블로그가 2006년을 기점으로 전문성을 내세운 파워블로그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IT업계 종사자를 중심으로 발전하였..2009/04/30 10:29
입소문 마케팅도 인터랙션 디자인으로 접근하면 how에 집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