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지진이 일어난 시각, 12일 오후. 이 충격적인 현장 소식을 가장 빨리 알린 언론보다 한 시간 빠른 소식통이 있었다. 바로 인터넷이었다. 현장에서는 전화와 무선 통신이 두절된 상태였지만 인터넷 통신망은 살아 있었던 것.

중국 네티즌은 중국내 서비스는 물론 해외 서비스를 막론하고 인터넷으로 소식을 알릴 수만 있다면 메신저와 SMS, 이메일, 블로깅을 가리지 않고 소식을 전달했다. 유튜브로도 관련 영상이 올라가면서 현장의 소식을 오히려 기성 언론이 더 늦게 전달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이런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대구지하철 폭발 사고 때도 PC통신을 하던 사람들이 가장 빠르게 상황을 알렸으며 삼풍백화점 붕괴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라크 전쟁 때도 블로그는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인터넷으로 들려주었으며 미얀마에서 반정부 시위가 있었을 때도 군부 정권은 인터넷부터 부랴부랴 막기 시작했다.

인터넷이 세계 곳곳에서 생생한 소식을 전달해주면서 그 영향력에 전 세계가 깜짝 놀라고 있다. 기자는 사건이 터져야 현장으로 달려가지만 네티즌은 이미 현장 속에서 소식을 전달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에서 일고 있는 미국소 수입 반대에 대한 논란은 현재 진행중이며 직접 목격하고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어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이 발간한 '뉴미디어 창의계층 육성을 위한 뉴미디어 이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0∼20대는 뉴스 장르 구분 없이 포털뉴스와 인터넷신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뉴스와 블로그, 게시판에 대한 구분 역시 희미해서 취미·레저 정보의 경우 블로그의 정보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61.9%에 이르렀다.

KBI 산업연구팀 김영수 연구원은 "블로그 생산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며 "정보 미디어로서 블로그의 가능성은 매우 크고 이후 블로그의 영향력이 더욱 증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규제와 통제 방식으로는 해답 없다 '소통이 정답'
인간의 '말하고 표현하고 듣고 욕구'가 만들어내는 이 같은 현상은 어떠한 보상도 없이 스스로 '알려야겠다'는 마음을 갖게 만든다. 하지만 기존 미디어 1.0 세상에서 이런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기성 언론조직에 제보하는 절차로 인해 상당부분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언론의 힘이 커질 수밖에 없었던 시대였다.

그런데 지금은 개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통신 매체의 수준이 언론의 조직적인 배포와 대등한 위치까지 올라섰다. 마음대로는 아니겠지만 여러 네티즌의 동감만 불러일으킨다면 수백만 명의 네티즌들의 서명을 이끌어낼 수도 있고 소식도 더 빠르게 전파된다. 한 이슈가 처음부터 폭발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다른 주변 이슈가 잠재돼 있는 상황에서 특정한 시점에 모든 이슈들이 뒤섞이면서 순식간에 눈덩이처럼 커지는 것이다. 이른바 '방아쇠 효과' 같은 것이다.

항간에서는 이런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네티즌들의 의혹제기를 '괴담' 수준으로 치부한다거나 '배후 세력 조종' 등의 자극적인 용어로 오히려 자발적인 참여 네티즌들의 자존심을 건드리기도 한다. 최악의 위기 대응 방식인 셈이다. 더구나 네티즌들은 '세력'이 아니라 행정 서비스의 고객인 '국민'이라는 점에서 의심하고 통제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설득하고 소통해야 할 대상임을 망각한 대응이었다.

뒤늦게 '소통의 부재'에 대한 반성도 있었고 '푸른팔작지붕아래'라는 청와대 블로그의 활약도 이어지면서 정부의 네티즌과의 소통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물론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상황까지 번진 것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의 오버스러운 장면이 잠깐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대통령 명예훼손 운운하며 네티즌의 댓글을 삭제해달라는 요구를 한 포털업체에 요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비난을 받자 다시 '그런 적 없다'고 말한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가 "현재 언론중재법 상 구제 대상에서 제외된 포털 사이트 등 뉴스를 다루는 인터넷사이트도 미디어의 범주로 넣고 법안 적용 대상에 넣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라는 발언을 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인터넷 통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물론 정부와 일부 언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네티즌의 감정 과잉과 확인할 수 없는 소문의 무차별 확산에 대해서는 누구나 이에 대한 우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을 기성 언론보다 못하다는 식으로 해석하는 것은 '아전인수', 또는 '침소봉대'에 불과하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소통방식이 '절대 선'이 될 수는 없겠지만 '절대 악'도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와 기성 언론의 신뢰도 추락 이유를 이런 식으로 물타기하려는 것도 정보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 우스워 보일 뿐이다. 그래서 '있을 때 잘하지 그랬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정보 소비자를 위한 정보 생산과 유통이 왜곡되면서 정보 소비자가 불편하고 불확실하지만 차라리 주변 네티즌을 더 선호하게 되는 상황은 왜 벌어졌을까. 수많은 요인 가운데 기성 언론의 자신감 과잉과 정보원과의 유착, 신뢰성 추락 등이 한몫하고 있다는 것도 이번 광우병 논란에서 되돌아봐야 할 부분이다.

■ 집단의 우둔함? 참여가 집단지성을 만든다
웹 2.0, 또는 미디어 2.0의 수많은 논의 가운데 가장 민주주의적 사고이면서도 어찌 보면 가장 위험해 보이는 것이 바로 '집단지성'이다.

"다수는 개인보다 똑똑하다." 또는 "개인들은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이지만 네티즌은 모든 분야의 전문가다." 이런 말은 집단지성에 대한 기대를 한껏 부풀려 놓았다. 세계 최대의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백과가 대표적이다. 포털의 지식 검색 서비스도 이런 집단지성의 발현이다.
 
하지만 반대로 군중은 우둔하며 조작하기 쉽고 군중심리로 인해 감정 과잉으로 한 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 있다. 블로고스피어에서는 종종 '추천'에 대한 조작 의혹이 나오고 과잉된 감정의 배설이 여과 없이 나오기도 한다. 또는 확인되지 않은 소식을 퍼나르거나 URL 주소를 여기저기 도배하고 다니는 네티즌도 많다. 지식 서비스가 신뢰를 잃어 가는 이유와 같다.

그런데 이런 두 가지 시각은 과연 서로 배치되는 것일까. 집단지성을 두둔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집단지성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불확실과 불합리에 대한 부작용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 불확실과 불합리를 '참여'해서 고치면 되는 것이다. '참여'하지 않고 비판하고 배척하니까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블로고스피어에서도 문제가 되는 글에 댓글로 잘못된 점을 지적하면 바로 글을 수정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런데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을 가진 댓글이 올라왔다고 무시하거나 비아냥거리는 대응을 하는 블로거도 물론 있다.

지금의 상황이 딱 그것이다. 정부와 언론이 광우병을 걱정하는 네티즌에게 비아냥거리는 악플을 달고 있는 것이다. 네티즌의 불확실한 정보 공유가 걱정되면 그 속에 끼여들어 적극적이고 진실된 마음으로 참여하고 소통해보기를 권한다. 항상 문제는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정 속에 있다.

-------------------------------------------->
이 내용은 전자신문인터넷 쇼핑저널 이버즈에 칼럼으로 기고된 내용입니다.

** 덧붙이자면, 정책과 정권은 10년 전으로 되돌릴 수 있을지 몰라도 문화를 10년 전으로 되돌리기는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점을 말하고 싶네요. 10년 전에는 자기 표현이나 주장과 토론 문화가 거의 전무했을 때였고 미디어 1.0 세력이 정점의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기였죠. 집중의 시대가 지나고 분산의 시대로 흐르고 있죠. 언젠가 다시 집중의 시대가 오겠지만 그것이 인위적일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시대가 선택한 흐름을 되돌려 놓을 때는 그만한 대가가 필요합니다. 어떤 대가일지는 구체적으로 말하기 힘들 뿐, 꽤 큰 대가일 것이라는 것은 느껴집니다.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2008/05/14 22:13 2008/05/14 22:13

TRACKBACK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1. 네이버를 우리 손으로 바꾸어 볼까?

    Tracked from 하테나  삭제

    한 때 인터넷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당연히 한 시간 정도는 웹2.0이 무엇인지 이야기할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하고, 관련 컨퍼런스도 여기저기에서 열리면서 뜨겁게 달아오르기도 하였다. 웹2.0을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서비스가 여럿 있지만, 구글이나 아마존 등 거대 기업을 뺀 순순한 웹2.0 벤처 서비스라면 플리커로 대표되는 사진 공유 서비스와 원조 딜리셔스로 유명한 소셜 북마킹 서비스, 그리고 다양한 블로그와 뉴스를 한 곳에서 읽을 수 있는 R..

    2008/05/17 00:32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 295 

카테고리

전체 (1951)
News Ring (644)
Column Ring (295)
Ring Idea (1004)
Ring Blog Net (8)
Scrap BOX(blinded) (0)

달력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그만'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 Supported by TNM
Copyright by 그만 [ http://www.ringblog.ne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