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16 12:50
"우리나라는 극장 국가죠 http://ringblog.net/1506 .2009/02/15 20:53
Robert B. Cialdini &... (원제) Yes!: 50 Scientifically Proven Ways to Be Persuasive 우리나라에서 공전의 히트를 친 책 설득의 심리학 2편이지요. 정말 실망입니다. 사자성어로 이야기하면 '견강부회'입니다. 한마디로 어거지랄까요. 어찌나 황당하던지, 첫째 든 의문은 '치알디니 책 맞아?'였습니다. 정말 설득의 심리학이란 이름을 도용한 짜깁기 짝퉁 책스러운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게다가 모든..2009/02/15 19:32
※이 글은 스포일러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먼저 이 책을 읽으신 후에 읽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년 후의 미래. 2010년도엔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날까? 당장 내일도 예측하기 힘든 세상에 3년 후라? 이 책은 3년 후의 일본을 재미있게 예측한 수작이다. 처음 이 책을 고를 때에는 기존의 SF소설이 보여주던 최첨단 과학기술과 로봇들이 등장하는 그런 소설이 아니다. 그냥 미래소설이다. 이 책의 중심엔 '웹' 과 웹을 기반으로 한 '교류' 가 있다..2009/02/15 15:38
나이 30에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백수 논객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보다 더한 축복이 있을까싶은데요 바로 우리들의 친구 미네르바 박 얘기입니다 오늘도 인터넷에서는 미네르바 박의 얘기가 한창입니다 미네르바 박의 구속에 대한 찬반 논쟁은 아직도 뜨겁고 경제예측의 신빙성 여부에 대한 논란도 여전히 진행중입니다 무엇보다 미네르바 박의 진위 논쟁도 가라앉을 술을 모릅니다 오히려 더 커져만 가는 양상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신문 방송에서도 미네르바...2009/02/15 02:46
집단 이성이니 집단 지성이니 말들 많이 하는데 그 보다 더욱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는 '집단 감성'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침잠하는 우울증depression과 폭발하는 공격성aggression은 본래 극과 극일진데, 하루...2009/02/15 00:59
우리나라 사람 생산에 익숙치 않다 이건 일본 사람보고 “모방과 개선만 할뿐 스스로 만들어내는 건 없다” 라고 하는 것보다 몇배는 강한 펀치이다. 반박의 여지는 있어도 곱씹고 반성해야 할 글.2009/02/14 23:04
한국인은 걸배이 근성이 강하다제목이 살짝 '거시기'합니다. 하지만 이 블로그에서는 자주 쓰는 말이니 개의치 않고 가겠습니다. 제목 자체가 료해 안 되는 분들이 있을 것같아서 잠깐 설명을 하고 가자면, '걸배이'는 '거지'의 다른 말입니다. 그러니까 제목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빌어먹고 사는 거지 근성이 강하다' 정도로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은 일종의 후기입니다. 그만님의 "우리나라 사람 생산에 익숙치 않다"는 포스트에 강한 '삘'을 받고 쓰는...2009/02/14 22:36
‘우리나라 문화는 생산의 문화가 아니에요. 위키도 그렇고 뭐든 문화를 수입하기만 하죠. 미국에서 다른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인구대비 유학생 비율이 가장 높아요. 우린 배워서 오는 사람들이죠. 우리나라 문화가 새로 만들어져서 바깥으로 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어요’ — 황상민2009/02/12 14:52
삐끗 인생사, 실수할 수도 있지: 어떤오디션, 귀염둥이도 있궁.. 이런 로봇군도 있궁..2009/02/10 17:31
며칠 동안, 블로고스피어를 달구는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언제나 달궈져 있긴 하죠. ㅎ) 그러한 일들 가운데, 개인적으로 아쉽고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볼 수 밖에 없는 글들이 몇개가 있었습니다. 바로 직전 포스팅에서 언급하기도 했지만, 태터앤미디어(이하 태터)에 관련된 논란도 있었고... nooe님께서는 올블로그(이하 올블)와 블로그코리아(이하 블코)에 해명을 요구하시는 글을 써주셨더군요. 그에대한 화답으로 블코의 이지선 대표님의 글은 어제,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