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05 07:59
팬들의 충성도 깊이가 깊고, 팬들의 수도 많다는 건 참 괜찮은 방어막이 된다. 구글이 그렇고, 애플도 그렇다. 구글의 사업은 어떤 것을 해도 성공이 반 이상 보장되어있다. 이미 그들은 웬만한 실수를 해도 팬들이 눈감아 줄 수 있는 단계에 있으며 심지어는 그것이 실수인지도 인지를 못할 정도로 팬들의 눈을 가리는 효과를 보고 있다. 정말 X같은 일이다. 최근, 구글 크롬은 그 사태가 정말 심각하다. 현재의 웹 브라우저 시장을 보면 어떤 브라우저가 나와도..2008/09/04 18:11
(그림 1)생각이 없는 블로그 by lezhin : http://lezhin.com 얼마 전, 레진님의 블로그가 차단 조치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동안 한rss로 업뎃이 안되고 (!)표시만 뜨길래 그냥 일시적인 문제인 줄 알았다. 그런데 아예 차단 조치되었단 것이다. 그것도 아무런 통보 없이. 심지어 주인장인 레진마저 몰랐다 한다. 이게 대체 무슨 짓인가. 레진이 누구인가. 이글루스 시절부터 5대 사마라 불리며 승승장구하다 티스토리로 옮겨와서도..2008/09/04 13:32
"포털이 정하는 것은 실행을 정하는 것이지 그 철학이나 법을 만드는 '놈'들은 따로 있어왔다. 그 놈들 여러분이 뽑아줬다." - 그만2008/09/04 12:25
!@#… 티스토리가 레진본좌의 블로그(차단 당시 내용들은 이런 것)를 차단해버린 사태에 대해, 역시 재미있는 화두를 건져올려주신 민노씨의 포스트를 보다가 간단한 잡상. 사건의 줄거리...2008/09/04 08:24
얼마전 티스토리의 한 블로그가 폐쇠를 당했습니다 제가 제 글에 자주 쓰는 말이지만 저는 다른 블로거분들과 그다지 교류의 폭이 넓지 않은 관계로 그 분의 블로그는 가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떡이떡이님 블로그를 통해 rss 에 남아 있는 캐시데이터를 통해 최근 글 10개는 읽을 수가 있었습니다 http://www.hanrss.com/myfeeds_main.qst?fsrl=5900 많은 분들이 이번 사태로 표현의 자유가 어쩌고 저쩌고 말하며 티스토리가 개념..2008/09/04 02:26
사실 레진의 사건에 앞서서 블로거들에게 되물어보고싶다. 당신은 정말 파워블로거를 지향했으며 그 파워블로거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냐는 말이다. 이것은 규약이나 체제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블로거 개개인에 대한 물음이다. 솔직히 이번사건은 예고된 사건일수 밖에 없다. 네이버 블로그를 막욕하던 자들도 별 다를바가 없다. 직설적으로 이야기하겠다. 네이버 블로그와 당신의 블로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당신은 올블로그에 송고하는가? 블로그 코리아? 믹시? 무엇..2008/09/04 00:51
이 글은 레진사태에 관해서 이어쓰는 두번째 글입니다. 처음 글은 레진 사태에 대해 레진이라는 블로거와 티스토리라는 서비스 업체에 대해서..특히 티스토리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에 대한 변호글의 성격이 강했다면 이번 글은 레진이라는 유명 블로거의 글 차단으로 불거진 우리나라 사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쇠사슬과 같은 사회분위기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레진사태에 관한 이전글 레진 사태와 관련해서 티스토리 까는 것이 정의인가? by 이스트라 | 2008..2008/09/04 00:50
레진님 관련 이야기로 엄청난 파장이 불어닥친 블로고스피어를 그냥 구경만 할려다가 욕먹을 각오로 다른 생각의 이야기를 좀 해보려 합니다. 일단 이해가 안되는 것 첫번째. 정말 레진님 블로그는 폭파당한건가? 제가 생각하는 폭파의 기준은 데이터의 상실입니다.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의 도메인과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가 내 자신이 확인할 수가 없게 상실되었다. 전 그게 폭파라는 용어와 맞는 것이라 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레진님 블로그는 현재 블라인드 처리되어..2008/09/03 12:25
< 전자신문 기사: 모바일 위젯 서비스 각광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8280199 신문기사를 읽어 보니, KFT에서 본격적으로 위젯 서비스를 할 것이라고 한다. 작년 8 월부터 시작 했다고 하고 100만명이 다운 받아 이벤트 중이라고 한다. 어떤 식으로 집계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대중화 된 서비스라고 말하다. 만약, KTF가 진정으로 쇼 (show) 위젯 대중화를 원한다면 다..2008/09/01 23:10
이 글에 인용한 신문기사는 보는 분에게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다음은 티스토리에서 소개한 티스토리의 '음란물' 관련 규제 정책입니다. 3. 음란물의 경우 (동영상 / 이미지 / 게시글 / 첨부파일 등 포함) 티 스토리 블로그의 음란물 규제 처리 기준은 '정보통신 윤리위원회'와 '청소년 보호법'에 의거하여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의 게시글이 모든 사람들이 접근하여 볼 수 있는 내용인만큼, 청소년을 보호하는 마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