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

뒤로 검색

누구를 위한 RSS 뉴스 전송권인가

2008/01/14 10:35

오랫동안 잠복해 있던 문제가 터졌다. 지난 11일 개인화 플랫폼 서비스인 위자드닷컴을 운영중인 표철민 대표가 자신의 블로그(http://mrpyo.com/blog/74)에 국내 한 일간지로부터 RSS 제공 금지에 대한 구두 통보를 받은 사실을 알렸다.

표 대표의 블로그 내용에 따르면 '개인이 이 언론사의 RSS를 이용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기업이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때는 사전에 저작권료 협상이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는 것이다.

표 대표는 물론 많은 수의 블로거들은 이 언론사닷컴 관계자의 RSS 재배포 금지에 대한 입장을 비난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저작권자의 당연한 권리라며 언론사닷컴을 옹호하면서 논란이 뜨겁게 가열되고 있다.

단일 콘텐츠 물류 시스템, RSS 
RSS란 데이터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인터넷 업계의 콘텐츠 배포 방식이다. 특정한 표준 유형의 데이터(XML, NewsML 등)를 구성하도록 해 원본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웹에 전송되도록 하는 기술적 규약을 담고 있다.

예전의 콘텐츠 배포 방식이 밀어내기(Push) 였다면, 미디어 2.0식의 콘텐츠 유통 방식에서는 사용자들이 필요에 의한 것만 끌어들이고(Pull), 여러 콘텐츠를 하나로 조합하는(Mash-up) 방식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콘텐츠 사업자가 자사가 생산한 콘텐츠를 배포하는 데 있어서 RSS를 사용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나는 제목과 링크를 담아 콘텐츠 내용을 제한해서 전송하고 전문을 보여줄 때는 자사 사이트로 들어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콘텐츠 사업자들이 채택하는 방식이다.

또 하나는 제목과 링크, 그리고 전문을 모두 배포하는 방식이다. 이는 대부분의 블로그에서 전문 전송을 설정하고 있다. 당연히 리더기를 통해 콘텐츠를 수집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필요하거나 관심있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을 선호한다.

반대로 콘텐츠 제공사업자 측에서는 사용자에게 콘텐츠 유통의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생길 수 있는 권력 해체 현상과 비즈니스의 복잡성을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미디어 2.0 시대에 주목할만한 현상은 '개별 단일 콘텐츠 유통'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콘텐츠 생산자가 종합 편집(편성)을 통해 의도된 메시지 덩어리를 수용자에게 전달했다면 지금은 단일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조합하거나 중간의 유통 사업자들이 새롭게 재조합해서 제공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는 것이다.

포털에서 여러 뉴스원으로부터 기사를 제공받고 이를 재조합해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와 한 인터넷 언론사가 자사가 생산한 뉴스만을 대상으로 편집해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의 차이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다만 이 규약은 기술적인 규약일 뿐 이를 이용한 서비스와 사업적 이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아직 완결되지 않은 상태다.

그렇다면 위자드닷컴과 온신협 소속사인 언론사닷컴 사이의 논쟁에서 누가 잘못된 것일까? 블로거들은 언론사닷컴 측의 폐쇄적인 정책을 비난하고 있지만 저작권자이자 신문사 콘텐츠를 유통해서 비즈니스를 해야 하는 언론사닷컴의 입장이 틀린 것은 아니다.

언론사닷컴도 모든 RSS 유통 사업자들에게 거액의 전송료를 달라고 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다만 이 둘 사이의 입장 차이는 '사전 합의'가 있었느냐의 여부로 초점이 모아진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 생산자인 언론사로부터 콘텐츠 전송권을 위임받은 언론사닷컴사 입장에서는 자사 콘텐츠의 전송에 대해 통제할 권리와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사전에 저작권 이용 규칙 등을 통해 공표된 사안이다. 작년 3월 온신협 11개사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의 세 번째 버전을 공표한 바 있다.

여기에서 주목할만한 부분은 '개인의 직접링크(딥링크) 허용'과 'RSS 중개 금지'에 대한 조항이 신설됐다는 것이다. 특히 'RSS 중개 금지' 조항의 설명에서 온신협의 "RSS 서비스는 이용자가 개인 PC 등 한정된 공간 안에서 뉴스 콘텐츠를 개인적으로 구독 이용하는 데 그쳐야 하며 RSS를 통해 구독하고 있는 뉴스 콘텐츠를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공중에 배포하거나 다시 재(再)RSS서비스를 하는 행위는 무단 복제, 무단 공중송신에 해당하므로 금지된다"고 명시했다.

따라서 사전에 RSS 재전송은 저작권자에 의해 금지된 조항이라는 것이다. 물론 신문사닷컴 11개사의 모임인 온신협에만 해당되는 내용이며 다른 방송사닷컴이나 독립 인터넷 언론사들은 이러한 명시조항 조차 마련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RSS 재전송에 대한 어떠한 기준도 없는 상태다.

창의적인 RSS 배포 방식 연구해야
국내에서는 사용자들이 직접 제시한 뉴스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는 뉴스 2.0(news2.co.kr), 딜리셔스(del.icio.us), 마가린(mar.gar.in), 뉴스로그( newslog.co.kr), 브레인엔(brainn.co.kr), 펌핏(pumfit.com) 등의 소셜 뉴스 서비스가 속속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한 대형 사이트인 다음, 야후, 네이트, 구글, MSN 등이 개인화 서비스를 운영중이며 위자드닷컴( wzd.com), 스타트온(starton.co.kr), 요즘엔(yozmn.com), 피코디(pcodi.co.kr) 등 개인화 포털이 웹 2.0 바람을 타고 주목을 받고 있다. 반대로 조직의 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집착이 강한 언론사의 경우 자신들의 편집 의도를 벗어나 각 기사들이 따로 전송되고 재배포되는 현상을 못마땅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다.

결국 소셜 뉴스서비스와 개인화 포털 모두가 저작권자의 인터넷 콘텐츠 URL 직접 링크, 또는 RSS를 활용하고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온신협은 물론 콘텐츠 사업자와 전송권, 편집권에 대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결국 저작권이니 전송권이니 하면서 일을 너무 복잡하게 꼬아놓고 해결책은 자꾸 뒤로 미루는 상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다.

언론사닷컴들이 RSS를 전송하는 경우 사업자와 개인들에게 전문을 공개할 때는 광고를 삽입한다거나 개인화 포털 사업자들에게만 제공하는 RSS를 따로 분류해 언론사의 편집권이 반영된 RSS를 편집해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콘텐츠 일부 공개 RSS는 무료화시켜 사이트 유입률을 높이는 대신 전문 공개 RSS는 유료 판매가 가능하도록 협의 통로를 마련해두고 RSS 재전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명확하게 규정해놓는 것도 방법일 것이다.

RSS를 이용한 플랫폼 사업자들도 RSS를 전송하는 사업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사전에 협의하려는 자세를 갖춘다면 분명 사용자들을 만족시키면서도 서로의 권리를 침해받지 않을 만한 중간 지점을 발견할 것이라고 본다.

콘텐츠 사업자들 역시 향후 미디어 2.0 시대의 모든 콘텐츠 유통은 단일 콘텐츠가 위주가 될 것이며 다양한 매시업 서비스들이 유통의 일정 영역을 맡을 것임을 인지하고 플랫폼 사업자들과 적극 협의하는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이나 뉴욕타임즈가 자사 사이트의 성장을 원하면서도 실질상 딥링크 모음으로 장사를 하고 있는 디그닷컴으로 '기사 보내기 버튼'을 왜 모든 기사에 달아두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기 바란다.
------------------------------->
이 내용은 전자신문인터넷 쇼핑저널 버즈에 칼럼으로 기고된 내용입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언론사들의 이런 대책없는 무개념 들이대기가 인터넷 서비스 벤처들을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물론 잠재적인 경쟁자이자 현재 자신들의 콘텐츠를 날로 먹는 사업자 쯤으로 여겨지겠지만 충분히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음에도 무조건 안돼부터 시작하면 뭐가 되겠습니까.

하튼 이번 칼럼은 최대한 중립적인 시각으로 썼지만 내심 언론사들의 전략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이 밀려드는 것은 어쩔 수 없군요.

관련 포스트 :

2008/01/02 저작권자의 호탕한 선언 바란다
2007/07/23
웹 콘텐츠여 영원하라, RSSArchives.org
2007/05/07 개인화 서비스, 그리고 블로그
2007/11/21 문광부, 포털 뉴스 가이드라인 발표
2007/09/11 6개 언론관련 단체 연합전선 구축 '타도 포털'
2007/07/08 허망하고 위험한 온신협의 [콘텐츠 이용 규칙]
2007/03/04 온신협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이 노리는 것은...

Writer profile
author image
링블로그 주인장 그만입니다. 그만에 대한 설명은 http://ringblog.net/notice/1237 공지글을 참고하세요. 제 글은 CC가 적용된 글로 출처를 표기하시고 원문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로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글은 이후에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Tags

RSS, xml, 미디어 2.0, 블로그, 신디케이션, 요즘엔, 이버즈, 인터넷한겨레, 저작권, 전송권, 칼럼, 표철민
이 페이지는 Textcube 1.10.9 : Tempo primo 로 구동됩니다 데스크탑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