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24 11:42
신문에 2조원을 쏟아붓겠다고? 이 건 또 뭔일..2009/03/24 08:18
소식 1: 한국 신문에 공적재원 투입 요구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동을 뜬 것으로 보인다 (그의 글 보기). 그가 명확히해야 하는 것은 1. '경영위기'에 처한 신문사를 돕자는 것인지, 2. 뉴미디어 저널리즘이 자리를 잡기 이전, '산업기반이 붕괴'되고 있는 신문산업에 일시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국민의 알권리가 연속성을 가지도록 지원하자는 것인지이다.1의 경우, '신문업계 로비력'의 승리임으로 이자리에서 크게 할말은 없다.2의 경우, 목적에 부합하는 공...2009/03/24 03:27
프랑스에서는 올해부터 성인인 18세가 되면 1년 동안 무료로 신문을 구독할 수 있게 된다. 18세 생일이 되는 날 보고 싶은 신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신문사가 구독료를, 정부가 배송료를 부담하는 방식이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면서 "신문을...2009/03/24 03:26
그만님의 사자후가 심각하게 들린다.2009/03/24 02:04
'신문유통원' 국고지원 논란 [2005-06-15] [조선일보]정부가 무료배달 하면..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몇몇 중앙 일간신문이 신문유통원 설립을 위해 2008년까지 1651억원의 투자 ...기사 보기 VS [경향신문]일부 언론의 사실왜곡경향신문사 등 6개 신문사가 신문유통원 설립과 관련해 정부에 국고 지원을 요청한 데 대해 수구적 보...기사 보기 ‘정부가 무료배달하면 신문은 뭘로 은혜 갚나’라는 조선일보 사설도 웃기지만, 더 웃기는 건 경향...2009/03/24 01:56
[기자수첩]“추적60분은 무엇을 추적했는가”KBS '뉴스게릴라들의 반란-인터넷언론은 성공할 것인가'를 보고 지난 15일에 방송된 추적60분 "인터넷언론은 성공할 것인가?" 편을, TV를 통해서는 보질 못하고 VOD를 통해 볼 수 있었다. 정말 어렵게 시간을 내서 보긴 했는데, 보고 나서 드는 생각은 한 가지였다. "추적60분은 60분 동안 대체 뭘 추적했던 것일까?" 해외 현지 취재까지 하면서 애써 만든 '특집' 프로그램에 대놓고 이런 말하기는 그...2009/03/23 15:10
장자연이 죽기 전에 작성한 문건에 '힘없고 나약한 신인배우'라는 말때문에 그 문건 또는 리스트가 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이유보다는 거기에 들어있는 사람이 누군지에 관심이 쏠려 있습니다. 그 동안 김성훈, 유장호와의 관계으로 부터 드러난 조각들을 하나씩 정황에 비추어 맞춰 보면 그 문건이 왜 만들어졌는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별거 아닌데 논란이 많은 서세원이 유장호를 찾아간 이유도 추정해보겠습니다. 유장호와 김성훈의 갈등은 없었나? 유장호는 김..2009/03/23 13:43
오늘 아침 시사IN이 공식블로그를 통해 밝힌 '서세원이 병원에 간 까닭은?(http://blog.sisain.co.kr/479 을 봤습니다. 어제 하루종일 뉴스를 장식했던 故 장자연씨의 전 매니저 유씨의 병실에 서세원씨가 방문한 까닭을 밝힌 내용이었는데요. 글을 읽고 난후 블로그 상단을 장식하고 있는 시사IN의 '모토(motto)'를 보고 씁쓸했습니다. 시사IN의 공식모토인지는 모르겠으나 '정직한 사람들이 만드는 정통 시사주간지'에서 겨우 이 사건을..2009/03/23 00:34
01. 오래간만이죠~ ^^;;; (0:00) 02. 왜 하필? (2:07) 03. 요즘 경찰 한가해요? (9:07) 04. 표창원 교수님 적반하장인데요~ (13:00) 05. 기준은 누가 결정했는가? 그 근거는? (27:08) 06. 조회수 = 여론? (29:48) 07. 조회수를 왜 조작했을까? (33:15) 08. 진짜 업무방해는 놔두고... (35:30) 09. 진짜 여론조작은 놔두고... (37:16) 10. 어떻게 될까? (39:19) 11..2009/03/22 14:19
쥐정권의 Unfair Play, WBC 열기 속 YTN노조 파괴공작?! 23일 언론노조의 "언론악법 저지 100일 투쟁"이 두려운 MB정권과 YTN 그렇다. 우리는 언론-민주화를 후퇴시킨 쥐정권의 언론악법 날치기 시도를 막아냈다. 하지만 장기독재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방송언론장악을 포기하지 않는 이들이 토해낸 언론악법(미디어법)을 완전히 폐기-소각시키지 못했다. * KBS노조는 왜 정권의 개노릇 하나?? 그 가운데 지난 13일 여야 합의에 따라 출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