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3 10:12
검색 결과는 시대의 필요를 반영하는 거울입니다. 인기 검색어를 통해서 대중들의 관심사를 알 수 있고 검색결과의 뉴스, 카페, 블로그, 지식검색 등과 같은 콜랙션의 배치를 통해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채널이나 매체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사이에 대부분의 검색어에서 선호하는 콜랙션(맞습니다. 검색어에 따라서 주요 검색 콜랙션이 자동으로 변경됩니다.)은 블로그 입니다. 블로그는 처음에는 일기장이라는 개념으로 출발했지만, Permanent..2011/08/01 17:44
이번 네이트 해킹 사고를 두고 블로그스피어의 관심사는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원흉인듯 이야기가 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저도 잠깐 주민등록번호 수집에 관한 이야2011/07/30 22:16
독자들께는 제목이 조금 지나치게 느껴졌을지 모르지만, 요즘 사회 일각에서 블로거를 대하는 눈길은 제목과 다르지 않습니다. 요즘처럼 밖에 나가 블로거를 만나거나, 인터넷에서 블로그 이야기를 하는 게 귀찮은 때도 없던 것 같습니다. 평범한 블로거도 이 정도 인데, 이번 블로거 규제와 관련해 여기저기 뛰어 다니고 인터뷰에 나서고 있는 다른 블로거들은 얼마나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까요? 이번 일에 대해 조용히 덮고 넘어가자는 생각이었지만, 블로그에 대한...2011/07/30 00:06
ⓒ Columbia Pictures. All rights reserved (영화 '줄리 앤 줄리아' 중) 위드블로그 바로알기 _ 블로그 리뷰, 지속 못할 이유가 없다 두서없이 시작하자면, 한 명의 블로거로서 그리고 위드블로그라는 리뷰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자로서 최근 사회적으로까지 이슈가 되었던 한 파워블로거의 공동구매 사건으로 많은 상처를 받았다. 언론을 비롯해 평소 블로고스피어에 관심이 없던 이들까지 모두 달려들어서 마치 이번 사건의 파워블로거와..2011/07/29 18:47
네이트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었다. 개인정보유출 확인하러 갔다. 여지없이 유출되었다. 골라서 가져가지 않는 이상 전체가 유출된 것은 당연한 일인데 개인유출정보 확인은 왜 만들었을까?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인지. 개뿔. 그리고 놀라운 것은 어떤 근거로 유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회원 여러분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심려를 끼치게 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진심으로 사과하고 있을까? ㅎㅎㅎ 진심으로 사과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달리 별로 할 말이 없..2011/07/29 17:21
시작은 신종 악성 코드... 신종 악성 코드 때문이었다는군요. 허술하게 악성 코드가 실린 메일을 읽거나 악성 코드를 의심없이 실행해 자신의 컴퓨터를 소위 좀비PC로 만든 직원이 있었겠지만 시작은 그렇다는 거죠. 무려 3,500만의 개인 정보 유출, 단일 업체에서 유출된 걸로는 사상 최고이자 3대 포털이라는 네이트와 싸이월드가 털렸습니다. 제 개인정보도 어김없이 털렸구요. [네이트/싸이월드 개인정보 유출 확인하러 가기] 사실 제 개인정보는 옥션때도 털..2011/07/29 15:42
예상 비번을 암호화된 코드로 변경해서 매칭 이러한것도 해킹이라고 해야할까요? 이미 대한민국은 해킹은 되었습니다. 계정정보를 다 가져갔으면 대화함에 저장된 대화도 다 들고 갔을수도 있습니다. 거기에는 신용카드 번호 각종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들이 들어있을수도 있겠죠. 일단은 비밀번호를 다 갈아치워야합니다. 몇몇 사이트들은 영문자와 숫자만으로 암호를 구성하도록 했는데 저는 제한을 두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DB에 저장할수 있는 특수문자(쉬프트+숫자) 정도는..2011/07/29 12:17
네이트가 해킹 당했다. 이미 싸이월드 해킹 소식은 오래전부터 구전되어 왔지만 스스로 밝힌 것은 처음이니 일단 3500만 명의 데이터가 완전히 털렸다는 소식이 충격적이다.2008년에 의혹을 제기하긴 했지만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왜? 우리나라에서 기업이 개인 블로그에게 명예훼손 걸면 그냥 당할 수밖에 없으니까.(의혹만 제기하면 음모론,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 등으로 당장 수사 나와 주시는 우리나라 당국자들 때문에 앞으로도 조심할 생각임.)2008...2011/07/29 12:05
지금쯤 조금은 과격해보여도 말해야 할 때가 온 거 같다. 실명제가 어떤 폐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수년 동안 수많은 글에서 걱정과 우려를 통해 전달한 바 있다. 다시 언급하기도 싫을 정도로 인간의 본성까지 들먹이며 인터넷 실명제가 산업적으로든 문화적으로든 사회 건전성으로든 그다지 유익하지 못함을 역설해 왔다.하지만 그건 엘리트주의와 계몽철학에 경도돼 '우민'들의 '아무나 지껄이는'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웃자고 한 농담을 죽자살자 달려드는' 지...2011/07/24 08:53
블로그는 무엇일까요? 미디어적 영향력이 있으니 미디어일까요? 마케팅을 많이 하니 마케팅 채널일까요? 여행기를 기록하니 여행기록장일까요, IT 리뷰를 하니 IT잡지일까요. 블로그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생각합니다. 블로거가 무슨 특정한 세력 집단도 아니고, 블로그가 한 분야에 한정된 플렛폼도 아닐 것입니다. 블로그는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공간인거죠. 블로그의 정체성이 이렇다보니 각 분야에 블로그가 들어가면 물을 다양한 컵에 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