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24 14:27
"미디어 법이 민생과 직결된 사안이다" 이것은 찬성 측 반대 측 모두 주워 섬기는 대표적인 헛소리. 미디어법은 민생 현안도 아니고, 그렇다고 시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그 무언가도 없다. 시민들이 광우병에 열광했다는 것은 먹을 거 였기 때문이라는 측면이 컸는데, 보라. 미디어법에 시민들이 촛불들고 나서든? 한나라당은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헛소리를 하고 있는데, 그게 왜 말이 안 되는지는 SBS를 보면 대충 알 수 있다. 민영방송국 SBS 출범 당시 MB..2009/07/24 12:17
1954년 11월 27일 이승만이 장기집권을 위해서 헌법을 고치고자 한다. 여당인 자유당이 절대다수였던 국회에서 투표를 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203명의 국회의원중 135명이 찬성하여 정족인원인 국회의원의 2/3에 단 1석 모자라 부결된다. 이틀 뒤에 대학 수학과교수가 사람은 자를 수 없으므로 반올림을 하여야 하며 203명의 2/3인 135.3333.... 명은 136명이 아니라 135명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부결을 뒤집는다. 294인 중 145인 재..2009/07/24 11:32
"3일간 국회에서 새우잠을 잤습니다... " 한나라의 미디어법 날치기 통과를 저지못한 한 민주당 국회의원의 한(恨)스런 독백이다. 미디어3법 통과를 두고 현재 '적법 vs 불법' 의 적법성 논란이 한나라-야권간에...2009/07/24 10:35
‘대리투표’가 아니라 ‘사기투표’다! 100분 토론을 지켜보면서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중립적인 의견은 전혀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팽팽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자가 느낀 평가로는 민주당의 주장이 훨씬 더 조리 있고 분명함은 맞으나 한나라당의 주장도 틀리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나라당에서 주장하는 신문방송의 대기업화, 대기업의 지상파 점유, 이 모든 것이 국내 미디어 산업에 시너지 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2009/07/24 09:50
부제: 미디어법 통과, 정치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우리들이 살아가는데도 관계있는 삶의 중요한 사건이다!!! 지난 22일 미디어법이 국회에서 날치기로 통과되는 장면을 생중계로 보았습니다. 옆에 있던 아들 준영이가 ‘아빠, 저 사람들 왜 싸워’라고 하는데 딱히 뭐라고 할 말이 없더군요-_-;;; 잘못된 것 같지만, 아이에게 딱히 뭐라고 짧은 말로 표현하기도 힘들고, 또 한편으로 제가 따진다고 올바르게 시정될 일도 아니고,,, 그냥 안타까워만..2009/07/24 09:42
한국 시각으로 7월 22일인 어제 오후, 드디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미디어 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습니다. 한나라당이나 청와대는 새로운 시대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했고, 야당과 인터넷의 네티즌들은 미디어 법 표결 자체가 날치기 혹은 절차상 원천 무효(?!)라고 주장하며, 절대 이러한 상황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또다시 전의를 불태우고 있습니다. 조중동의 방송 진출만은 안된다며 미디어 법 결사 반대를 외치는 사람들의 모습 ⓒ다음 미디어 그러나..2009/07/24 09:33
미디어법을 날치기 통과시키고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한나라당을 규탄한다 - 집권연장과 국민을 세뇌하기 위한 미디어악법은 절차와 과정에서 모두 무효이다 - 1. 국민들은 미디어법과 관련해 정치권에 회기와 상관없이 합의처리 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는 점과 미디어법이 여론독점과 방송장악을 위한 것이라는 우려를 분명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22일 한나라당의 시나리오에 의해 국민들의 이같은 의견은 묵살되었다. <?XML:NAMESPACE PREFIX =...2009/07/23 15:26
인터넷 신문의 역사, 인터넷의 특징, 인터넷에서의 글쓰기 등을 설명한 책입니다. 정식으로 출판된 책인데 다른 자료에서 인용한 이야기가 너무 많고 정리도 안된 느낌이라 지은이가 자신의 생각으로 틀을 잡았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2000년대 초반에 이런 책이 나왔다는 것이 놀랍고, 더 일찍 봤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블로그 글을 문어체로 쓸지 구어체로 쓸지, 한 문서를 길게 쓸지 아니면 문서를 짧게 나누고 링크를 활용할지 등의 문제가..2009/07/22 01:14
이미 저작권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법률은 충분하다는데 왜 우리는 논란의 소지가 있는 개정법안이 필요할까요? 시간이 정말 빠르네요. 아직 시간이 있다고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었는데 오늘 Tistory에서 저작권 개정 관련 공지가 왔더군요. Tistory의 '새로운 저작권 개정안 관련 안내 공지(7/23)(http://notice.tistory.com/1364)'에 저작권과 관련 블로거들이 숙지해야할 필수 사항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블로그..2009/07/21 05:38
디스커스를 눈독 들이고 있었다. 여러개의 동일한 미러 블로그를 운영해도 하나의 댓글 시스템으로 모아서 스마트폰으로 관리할 수 있겠구나 싶어서였다. 조금씩 테스트를 해 보던 중, 약간 난감한 점을 발견했다. 다른 블로그 서비스들은 모르겠는데, 현재 태터를 기반으로 하는 블로그 서비스들은 디스커스를 적용했을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유인 즉슨… 태터 블로그들의 글 주소값은 3가지를 가진다. 이 서비스를 소개하신 @mushman님의 ‘블로그에 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