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3 10:48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kjmzzang0114?Redirect=LoglogNo=70070201163] 제가 이 화두를 이야기를 하려하는 것은 인터넷 전체를 실명 혹은 익명으로 만들어 버리는 이분법 적인 결론을 내리고자 함이 아닙니다. 사이버망명의 근원이 된 제한적 본인 확인제의 현상과 제가 생각하는 본질을 이야기해2009/10/12 10:18
이번 사건 역시 안티 네이버 진영측에서는 역시 네이버~ 라고는 말하지만, 개인 PC 보안의심각성도, 그리고 그것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사업자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듯. 실시간 검색어가 아닌,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개념은 아직도 유저들은 이해를 못하고 있는 듯 합니다. 마치 그냥 재밌는 게임정도나, 여론의 순위정도로만 여기기 때문에 "이명박2009/10/06 18:39
정보 수용의 한계 검색엔진에서 가장 유용한 통계 중 하나는 질의어 로그입니다. 말 그대로 검색어 입력 창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질의어들이 시간순서 별로 로그에 남게 되는데, 이 데이터를 분석해서 검색엔진 운영차원에서 어떤 컨텐츠를 보완해야 할지, 검색결과의 품질은 어떠한지 등을 검토합니다. roads and railways series #4 by woodleywonderworks 이 질의어 로그가 인기검색어라는 이름으로 가공[각주:1]되어서 공개되..2009/09/28 21:44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45630&g_menu=020900 생각해보니 네이버가 진정한 검색포털이 아닌, 대량의 DB를 구축후 주요내용을 가공하여 제한된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회원제 DB검색서비스'라면 저말은 틀린게 아니네요. 네이버는 실컷 가공해서 제한된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데 구글이란 검색엔진은 자기네 서비스를 가져가니까요. 근데 직접 보여주는것도 아니고 '링크'인데 무슨..2009/09/28 19:41
지난 주 금요일(25일) 네이버의 새로운 검색 알고리즘인 '컬렉션 랭킹'에 대한 기자 간담회가 있었나 보다. 엠바고 때문인지 어제 밤에 기사가 떴는데... 이 자리에 NHN의 이준호 COO께서 기자들과 직접 질의 응답을 하셨다고 한다. 이준호 박사님은 숭실대 교수 출신으로 정보 검색 분야의 1세대이신데다 지금의 네이버 검색이 있게한 분이다. 게다가 창업자들과 달리 지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계신 덕에 최대 개인 주주 중 한명이고 2004년 NHN 기술..2009/09/28 17:25
구글 무임승차 발언에 대한 약간(?)의 옹호. '그 발언'은 맨땅에 헤딩하면서 콘텐츠 만들어온 네이버 입장에서라면 품을만한 기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블로거들에 의해 맥락이 다소 오해된 부분도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실패한 커뮤니케이션이란 건 사실…2009/09/28 15:57
지난 주 금요일 저녁 네이버의 검색기술을 책임지고 있는 이준호 COO(최고운영책임자)와의 만남이 있었습니다. 최근 진행한 네이버 검색 성능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자리였습니다. 관련기사 : 네이버, 검색 더 똑똑해진다 그런데 이날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온 이준호 COO의 발언 내용 중 한 부분이 블로고스피어에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IT분야의 유명 블로거이신 윤석찬님과 그만님도 이 발언에 화가 나셨습니다. 네이버 COO "구글에 화내는..2009/09/28 13:57
네이버 "구글은 무임승차, 화난다" 1. 무임승차가 완전 거짓 ? 먼저 이준호 COO님의 발언은 국내 사업자로서는 틀린말은 아닙니다. http://blog.naver.com/fstory97?Redirect=LoglogNo=70068468435 네이버가 없다면 힌국의 웹생태계는 어땠을까? 이는 DB오픈시 피해가 가장 클 네2009/09/28 13:08
RT bloginissue님: RT dangun76님: 이준호 교수님 좀 실망스럽더군요. RT oojoo님 네이버의 개방 천명에 대한 두 파워 블로거의 날카로운 지적. http://is.gd/3JKuX / http://is.gd/3JKuK2009/09/28 13:00
RT @oojoo: 네이버의 개방 천명에 대한 두 파워 블로거의 날카로운 지적. http://ringblog.net/1690 / http://blog.creation.net/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