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08 21:23
2010/11/08 10:25
재미있는 것은 이미 우리의 관심은 G20에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KBS가 연속으로 특별기획을 쏟아내고 각종 매체가 G20 행사에 대한 뉴스를 쏟아내도 우린 별달리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 <중요한 G20이 중요해지지 않는 순간>2010/11/08 10:15
독자적인 의제와 사고틀이 더 중요하다는 말씀! ringmedia님: 중요한 G20이 중요해지지 않는 순간 http://ringblog.net/18902010/11/04 22:28
[리뷰] 어중간한 실용 스마트폰 LG인사이트폰2010/11/04 09:46
1. 네이버의 오픈에 대한 변명 최근 네이버에서 이야기한 오픈(네이버가 폐쇄적? 경쟁사에만 닫았을뿐)에 관해 변명(네이버 폐쇄성 해명, 한국 인터넷 모독)이니 뭐니하는 말이 많습니다만, 그 기사에서 한가지 주목되는 구문이 있습니다. 바로 중복투자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의 공동이용, 곧 오픈을 원한다라는 이야기입니다. 네이버를 싫어하는 분들에게는2010/11/04 09:28
최근 블로터닷넷(www.bloter.net)에서 나오는 기사를 보면 네이버 대변인이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로 네이버에 호의적인 기사가 눈에 띈다. 네이버의 폐쇄적인 소셜전략이라는 것에 대해 거의 모든 블로거가 비판하고 있는 마당에 블로터닷넷은 매우 상세하고 호의적으로 기사를 다루기도 했었다.(관련기사: http://www.bloter.net/archives/39537) 사실 나는 블로터닷넷의 초창기에 필진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호감을..2010/11/03 12:32
엮인글(http://ringblog.net/1887)을 보면 인터넷 생태계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는 구글과 비교하며 네이버를 까고 있네요.뭐 이 이야기로는 몇 년간 너무 까이고 까여서 더 할 얘기도 없는 것 같습니다만..1. 일단 요약일단 제 지론을 요약하면, 그렇게 인터넷 발전이 안되서 억울하면 사용자들이컨텐츠를 외부에 쌓게 만들어야 합니다.2010/10/26 17:29
아이팟,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까지... 애플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 혜성같이 등장한 책이 있으니 바로 '아이패드 혁명'이다. 사실 아이패드가 국내에서 아직 출시 전임에도 많은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11월에는 정식으로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이 책은 IT전문가, 기자 등으로 구성된 10명의 저자가 작성한 책이다. 저자들의 프로필은 화려 그 자체다. 저자 : 김광현 한국경제신문 IT전문기..2010/10/25 19:15
영국의 지면 매체 문화 영국에 와서 느끼고 있는 것 중에 하나는 지면 매체가 발달해 있고, 지면보다는 디지털이 익숙한 현재에도 한국의 지면 시장 보다는 아직은 덜 죽었다는 것입니다. 특히 신문의 경우에는 지하철을 타면 대부분이 아침엔 매트로를 들고 있고 저녁엔 이브닝을 들고 있습니다. 그 것이 아니면 모바일을 들고 있거나 간간히 매거진을 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뉴스를 받아들이는 채널이 인터넷이 가장 높다면 영국은 아직까지도 신문이 많은 부..2010/10/24 10:21
용어의 정의Early Stage 투자 : BEP 이전의 단계 형태는 무엇이 되었든 BEP 이전의 단계의 투자 본엔젤스의 경우 그 이전부터 교류하기 시작투자자의 단계마다 관계 정립이 필요함F/F (Family/Friends) - 이해 관계 보다는 사랑, 우정 등에 의한 투자 그러나 Frineds 는 조금 다를 수도 있음. Family 와는 조금 다를 수 있음AngelVC- 실리콘밸리에서는 투자의 역사가 오래 되어서 각 단계별로 투자자/창업자의 관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