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9 15:01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70248.html 홍보나 마케팅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네이버 인기 검색어에 올라가는게 소원일 수도 있겠다. 인기 검색어가 알고리즘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처리하는게 맞긴 하지만, 임의로 편집하는건 당연히 가능한 것. 뭐..내가 전에 근무하던 곳에서도 편집했었는걸... 지금은 안한다고 하네. 그럴 수도 있겠군... 여튼 편집은 상황에 따라서는 필요하기도 하다. 아..2011/03/26 12:24
그들을 만난 이후로 나는 때때로 무력함을 느끼곤 했다. 거대한 조직, 시스템, 네트워크 앞에 일개 시민이 얼마나 한없이 작아지는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곤 했다. 용기내어 이야기를 꺼내게 된 계기는 사실 특별한건 없다. 그저, 더이상 덮어둘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2년 전 쯤엔가 청와대의 민간인 사찰 문제가 붉어진 적이 있다. 모두들 분노했지만 적절히 덮어졌고 나 역시 신속하게 소리소문없이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질 것이라 생각했다. 예상...2011/03/15 15:18
글을 쓰기 시작하는 지금 시간은 2011년 03월 13일 새벽 2시 10분입니다.. 지난 3월 11일 오후 2시 46분에 발생한 일본 동북부 지방의 태평양 연안 대지진.. 쿤(글쓴이)은 3월 11일 저녁 7시 경부터 지금까지 약 31시간 동안 tv 앞을 떠나지 못하고 있습니다.(tv 앞에서 새우잠 잡니다.) 쿤과 다다다가 사는 곳이 지진 발생지로부터 약 700km 정도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나가노 지방에서 또 다른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지라, 상황..2011/03/15 13:16
일본의 최악의 재난을 다루는 일본의 놀라운 침착성과 대조되는 우리나라 언론의 호들갑을 보며 몇 가지 생각이 들었다. 재난이나 사고 보도에 있어서 언론사는 냉정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과 일이 진행될 때는 반드시 현재 벌어지고 있는 '팩트(사실)'에 집중하라는 것이다2011/03/14 15:17
1. 좀비 PC법 ? DDOS공격 이후 일명 좀비pc법이 논의 된다는 이야기를 들려 오더군요. 일정수준의 클라이언트 보안은 어느정도 보장되야하는 것은 분명히 이해가 갑니다만 이를 강제하는 법은 썩 기분 좋지 않습니다. 그렇게 기민하신 정부에서는 어째서 ie6를 국가기관에서 쓰면서 서비스사업자들을 괴롭히고 있는지요. 보안사고가 터지면 공격의 flow에2011/03/11 10:41
지난 20일 방송통신위원회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서비스 개선 및 자료 제출에 대한 페이스북의 회신 결과를 발표"한다며 "페이스북은 방통위의 서비스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해 한국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보통신망법을 준수하는 별도의 절차를 마련하여 제공할 방침인 것으로 밝혔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앞서 '미디어후비기'에서 방통위가 지난해 12월 8일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 높인다"며 내놓은 보도자료와 관련된 글을 쓴 적이 있다. (관련글 : 방..2011/03/07 22:45
작년 전세계를 소문과 폭로의 소용돌이로 몰고 갔던 위키리크스입니다. 당시 상당 수의 국내 언론에서는 위키'리스크'라고 불러서 웃음을 참기 힘들었지요. 하지만 그 무의식에는 위험(risk)에 대한 치환욕구가 엿보이기도 하고, 또 그만큼 누설(leaks)을 근간으로하는 위키리크스 시스템의 본질에 대한 몰이해가 빚어낸 촌극이었습니다. Marcel Rosenbach (Title) Staatsfeind Wikileaks 국내에 경쟁하듯 위키리크스 책이 나오고..2011/03/07 12:51
!@#… 트윗 등지에서 조각 멘트만 줄창 남기다가 계기를 잡으면 좀 묶어서 이야기하겠다고 말해두던 ‘위키릭스’ 사안. 정보운동단체 진보넷의 계간지 ‘액트온‘에서 지면을 할애해주셔서, 그 계기가 왔기에 지난달에 쓴 원고. 그런데 쓰다보니 위키릭스로 인해 열리게 된 “해결할 문제들”만 주욱 늘어놓아 보아도 뭐가 그득하다. 하지만 그 밑에는 당연히 더 나은 사회에 대한 일말의 희...2011/03/02 01:08
이미 익숙하지만 미쳐 자각하지 못하고 있던 게임화(gamification) 컨셉을 더 깊이 있게 다루기 앞서, 2011년 1월 20일과 21일 이렇게 이틀에 걸쳐 San Francisco, California 에서 처음으로 열렸던 The Gamification Summit 이라는 행사의 비디오와 관련 슬라이드를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현재 FORA.tv를 통해 모든 영상을 보시려면 149 달러의 돈을 지불하라고 나오지만, Gebe Zicher..2011/02/11 15:36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