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8 10:24
한겨레 단독보도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지난 2006년 12월부터 하루 평균방문자수가 10만명 이상인 인터넷포털사이트와 언론사닷컴 등의 게시판에 이용자가 글을 올리기위해선 서비스 사업자가 실시하는 본인 확인절차를 거치도록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한겨례 기사 보기 - [단독] 구글 1주일째 인터넷 실명제 ‘불복종’ 세계적인 인터넷서비스 기업인 구글에서 운영하는 한국 유튜브(kr.youtube.com)는 지난 4월 1일부터 인터넷 본인확인제(실명제) 적..2009/04/09 11:00
침묵하던 구글이 결정을 내렸습니다. 제한적 본인확인제를 도입하느니 차라리 한국시장을 포기한거죠. 유튜브 한국사이트에 영상물이나 댓글 등의 게시물을 올릴 수 없도록 한다는 정책을 밝혔습니다. 이제 한국에서 유튜브는 볼 수만 있는 반쪽 서비스가 된거죠. 4월 9일 유튜브 블로그를 통해 구글은 "평소 저희가 일하는 모든 분야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우선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더 많은 정보를 갖는다는 것은 더 많은 선택과 더 많은 자..2009/04/09 17:05
KBS와 동아일보의 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라고? 구글이 한국에서 한글을 이용해 동영상을 올리거나 댓글을 달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이는 세계에서 유래없는 조치이고 한국인이라면 자유가 제한된 몰모트가 돼 가는 걸 창피한 줄 알아야 하는 조치이다. 자, 그럼 이쯤에서 궁금해지는 게 있다. 지금 미디어악법이 통과되기만을 기다리며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뉴스를 내 보내며 테스트 하고 있는 동아일보의 동아방송이나 KBS의 국제방송 등 몇몇 기관단체 및 기업들은..2009/04/09 21:02
구글이 한국 정부가 강요해온 유튜브 실명제 도입에 거부 의사를 밝혔다. 전 세계에서 최초로 그리고 유일하게 한국에서 유튜브 실명제가 적용되는가의 여부를 놓고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었는데, 고심하던 구글이 마침내 "익명성이 표현의 자유에서 중요한 권리"라며 입장을 밝힌 것이다. “모든 분야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우선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갖는다는 것은 더 많은 선택과, 더 많은 자유와, 궁극적으로 더 많은 힘을...2009/04/09 22:05
구글과 함께 쥐망나니의 인터넷실명제에 침을 뱉자!! 인터넷-IT강국 코리아의 세계적 개망신, 인터넷-블로그는 쥐뿔도 모른다!! 어제(8일) 도서관에서 밤 9시쯤 집에 돌아와 늦은 저녁을 먹고 노트북을 켜고, 올블에서 'Breeze'님의 "국제적 망신살 뻗친 인터넷실명제"란 게시글과 한겨레가 단독보도한 "구글 1주일째 인터넷실명제 '불복종'"이란 기사를 접하고 저 깊은 곳에서 치밀어오르는 분노와 수치심 때문에 뭔가 쏟아내야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그러지..2009/04/10 10:16
한국 정부는 유튜브(Youtube)에 대한 '실명 인증'을 시작하겠다고 했고, Pig-Min에서는 "게임위, [부족전쟁] 블록이 가져올 수 있는 참사"라는 글에서 해당 상황을 인용한바 있습니다. 이렇게 계속 막아버리면 해외 인터넷에서 '한글과 한국어가 말살당할 수 있다'는 얘기였죠. 구글 코리아의 경우 한국에도 지사가 있으니, [부족전쟁]과 달리 한국법을 준수하는 것이 맞을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구글과 유튜브가 제시한 선택지는 완전히 달랐으니,...2009/04/10 16:43
역시 블로깅은 순발력 아니면 차별화다. 유튜브의 결정이 알려지자마자 엄청난 순발력으로 블로거들이 대환영한다는 메시지와 함께 일부는 약간의 시니컬한 '손해 볼 거 없으니까 그랬겠지'라는 반응을 보여준다.한국 국가설정시 업로드 기능을 자발적으로 제한합니다 [유튜브 공식 블로그]4월 9일 하루에 쏟아진 관련 블로그 글만 해도 수십건이 넘고 포털의 펌질까지 합하면 인터넷 통제의 역사에 기록될만한 사건으로서 손색이 없다.하루 방문객 10만명 이상 사이트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