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하드웨어를 만드는 이들이 시장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소프트웨어를 가진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시장은 그런 현상이 더 심한 형태였습니다. 하드웨어 제조자인 단말기 생산자들의 힘도 막강하지만, 거기에 그를 할용하기 위한 방법이 없으면 무용지물이었기에 이동통신사들이 막강한 힘을 발휘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두 가지 형태 모두 주도권은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에게 있어왔습니다. 아이폰의 경우는 그 주도권을 소비자에게 넘겨 주겠다는 점이 소비자들의 동의를 이끌어낸 결정적 요인이라고 봅니다. 단적인 예로, 단말기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기가 막히다 못해 기절초풍할 수준의 사용료를 내야만 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없었습니다. 아이폰은 이런 부분을 본래의 시장인 미국에서부터 깨고 나온 것입니다.
후일에 평가되겠지만, 저는 이런 부분이 역사에 남을 일이라고 봅니다. 왕권은 정치권으로, 다시 경제권으로 세상의 기준이 변해오면서 동시에 진행된 것은 위로부터 아래로 그 권력의 이양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입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아이폰이 이루어낸 개혁은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에 비견될만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시장의 주도권이 서서히, 아주 조금이나마 소비자들에게 넘어오기 시작했다는 점이 주목할만한 사항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물론 지적하신대로 애플의 신제품에 대해 호들갑에 가까운 난리를 떠는 것은 확실히 문제가 있지만, 그에 비견할만한 다른 공급자가 없다는 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보입니다. 일개 기업의 독주를 우려하시는 점을 이해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와 익스플로러에 완전히 경도되어서 비표준에 호환도 되지 않는 기술을 국가표준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경우일 것입니다. 물론 애플이 제시하는 시장의 방향은 개방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경쟁자가 없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점입니다.
다른 경쟁자가 나서서 더 많이 소비자들에게 주권을 넘겨주고, 선의의 경쟁이 이루어지기를 바래봅니다.
불행한 것은 둘째치고 제가 늘 이야기하듯, 애플은 늘 자신들의 자리(시장 점유율 5~20% 사이)가 있다고 봅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성공적이니까요. 전 애플이 IT 업계를 자극시키는 역할로 충분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보구요. 아마도 그 과실을 구글이나 중국의 제조사들이 따먹지 않을까 생각합니다.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