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문제죠. 일부 부작용이 큰 것도 사실입니다. 나몰라라 하는 저널리즘을 무너뜨리는 행위도 정말 못 봐줄 정도죠. 그렇다고 해서 망해야 하는 언론사와 남아야 하는 언론사가 나뉘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입니다. 여론은 다양해야 하고 다양한 사회 가치관을 투영해야 하기 때문이죠. 지금의 언론에 대한 따가운 시선을 언론인들이 자각하기를 기다리기에도 지쳤다는 느낌은 들지만 그렇다고 아예 입부터 막아버리는 데에는 반대합니다.
학주니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바른 생각을 가진 언론이라면 당연히 '국민의 알 권리'를 우선하겠지만 한국은 막강한 언론권력에 기생하는 찌질이 기자들의 수준 미달의 기사들이 범람하는 것이 엄청난 부작용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기자들과는 막장 대결을 해야져. 송일국처럼(만약 그의 말이 맞다면) 바른 이미지에 먹칠을 당하면 누구라도 대응할 권리는 있는거 아닌가요?
아마 많은 분들이 학주니님을 비롯해 주니님의 말씀에 깊은 동감을 할 것으로 봅니다. 언론을 옹호하는 글이 추천받지 못하거나 진탕 욕을 먹는 경우도 자주 보죠.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비난으로 해결되면야 저부터라도 그동안 해왔듯이 마구 비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걸리는 것이 언론인들의 잘못 투성이니까 말이죠. 어쨌든 언론중재제도가 있는 것도 꽤나 우리나라 특성이 많이 반영된 것이 사실입니다. 웬만해서는 그냥 민사나 형사로 바로 가는 것을 막아주는 필터링 역할을 해주니까요. 하지만 이제 언론중재 기능을 바로 지나쳐 물질적인 피해를 가해야 한다는 보복 심리도 그리 안전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저도 복잡한 심경입니다. 그럼에도 언론(언론사가 아니라)이 견제받는 것이 아닌 언론이 자본에 의해 통제되는 상황은 그리 달갑지 않습니다.
주의 깊게 봐야 할 것은 그나마 소송을 제기하는 이들은 우리사회의 메이저란 겁니다. 마이너리티는 그나마 소송하는 것 조차 못하죠. 그런 상황에서 저들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언론의 위축입니다. 물론 언론의 지나친 권렉에도 문제가 있지만, 한국은 언론의 권력이라기 보다는 어느 줄에 서느냐에 따라 힘의 향방이 움직인다는 생각입니다. 조중동문세는 다분히 예외지만요. 우리가 조중동문세를 빼면 찌잘이 기자들이란 사람들은 대부분 우리사회의 언론 기득권이라기 보다는 마이너리티입니다. 그들까지 언론 권력이라고 말하긴 좀 그렇지 않나 싶네요. 링님이 예를 든 송일국, 노현정, 검찰, 그리고 황토팩의 김영애... 링니믜 글에 반박을 하는 것이 아닌 덧글에서 다소 안습 같아 씁니다.
주연님의 말씀 감사합니다. 기득권과 정치인, 그리고 거대 기업집단이 사용하는 소송입니다. 소외계층과 언론에 대응할 힘이 없는 사회적 약자들은 늘 당하기만 하죠. 언론 스스로 자정기능을 갖추지 못한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언론에게 가해지는 직접적인 보복은 또 다른 의미로 사회적 약자에게는 상대적 박탈감을 안겨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었습니다. 반대로 기자들은 상대적인 강자에게는 약하게, 그리고 상대적 약자에게는 강하게 하는 못된 습관이 고착화되는 것을 우려한 것입니다.
덧, 흠.. 제 필명은 '그만'이구요.. 블로그 이름이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입니다.^^
언론통제 혹은 무책임한 언론의 견제의 고민이 필요하긴 해요. 그런데, 주연님 말처럼 '무책임한 언론'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받는 것은 '사회적 약자'이고 동시에 '언론통제'를 하게 마드는 이들은 '사회적 강자'라는 생각이 드네요.(연예인들도 물론 피해가 크지만, 비정규직, 혹은 소소한 시민들은 엄청난 타격을 입지요.)
언론이 최대한 '사회적 약자'의 입장을 견지해서 글을 쓰고 그게 어느정도 '의미'가 있을 땐, 언론에게 함부로 고소하지 못하도록 하는게 중요한 거라 생각해요.
예를 들어 막강한 '삼성'의 이야기는 대부분의 언론이 '침묵'하면서 '파업'하는 노동자들, 아무런 힘이 없는 보통 '시민'들의 경우는 함부로 쓰고, 정정기사도 잘 내보내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지요.
일단 무책임한 언론을 혼내주는 방법을 무작정 직접 소송의 방법만이 능사가 아니라고 봅니다. 이런 비싼 보복 방법은 소시민에게는 상대적 박탈감만 주기 때문이죠. 그래서 언론중재 제도가 있고 이를 좀더 확실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언론의 잘못된 보도에 대한 대응이 쉽고 빠르게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정정기사는 건물 무너뜨리고 미안하다는 푯말 하나 세우는 거랑 같다고 봅니다. 원문에 정정기사를 붙여야만 합니다.